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음악 속의 음악: 쇼팽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액자 형식 (Music within the Music: Frame Story in Chopin’s Music)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12
26P 미리보기
음악 속의 음악: 쇼팽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액자 형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 수록지 정보 : 음악이론연구 / 33권 / 44 ~ 69페이지
    · 저자명 : 정희원

    초록

    본 연구는 음악 작품에서 새로운 조성으로 전조된 부분을 액자 형식의 속이야기 부분으로 해석함으로써 음악 안에서의 시간성 및 공간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음악을 듣는 새로운 접근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표가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다른 시공간로의 이동을 야기하는 요소로서의 조성 변화를 보여주기 위한 예로 19세기 초반의 작곡가인 쇼팽(Frédéric Chopin)의 음악을 살펴보며, 쇼팽의 음악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전조 방식이 음악 내적인 요소로서의 독창성을 보여줄 뿐 아니라 시공간의 변화를 유도하는 전환의 매개체로 작용한다고 해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조성의 영역이 이례적인 방식으로 곡의 중간에 나타나는 작품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조로 들어가는 지점과 원조로 복귀하는 지점의 두 전환점에서의 매개체가 무엇인지에 보다 초점을 맞춘다.
    본문에서는 쇼팽의 작품 중 <마주르카 C장조 Op. 24, No. 2>, <녹턴 Bb단조, Op. 9, No. 1>, <녹턴 G단조 Op. 15, No. 3>에서 먼 조로의 전조가 어떻게 독특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 먼저 분석하고, 나아가 쇼팽의 <프렐류드 C#단조, Op. 45> 전체의 조성구조를 액자 형식을 적용하여 살펴본다. 본 연구자는 이 작품에서 새로운 조성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과정이 청자로 하여금 다른 시공간을 유도하는 점에 주목하여 쉔커식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사용하여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escribe the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of music as a part of the storytelling in the frame narrative structure to present a new approach to listening to music. The study examines the music of Frédéric Chopin, an early 19th-century composer, as an example to illustrate the compositional technique that causes the movements to different time and space. I argue that the modulations to remote tonal areas in Chopin’s music not only show originality as an formal element of music, but also act as a medium of transformation that induces changes in time and space. In particular, the modulations between the third-related or semitone-related keys tend to generate a sense of distance from the home key to switch scenes for the listeners. Therefore, this is an analytical study on the pieces in which the new tonal area appears in the middle of the piece in an unusual way. In particular, it focuses on what are the mediators at the points of transition to a new key and return to the original key.
    First of all, I analyzes Chopin’s Mazurka in C major Op. 24, No. 2, the Nocturne in Bb major, Op. 9, No. 1, and the Nocturne in G Minor Op. 15, No. 3, and then explore Chopin’s Prelude in C# minor, Op. 45 more thoroughly, focusing on how a modulation to the distant key appears in a unique way, Finally, I argue that, as an new approach to chromaticism, the process of modulating to a new key and returning to original key leads the listeners to another time and space, using Schenkerian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