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 속에서 드러난 부재를 통한 현실 재현 (Representation of Reality through the absence revealed in Andrei Zvyagintsev’s film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6
22P 미리보기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 속에서 드러난 부재를 통한 현실 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32권 / 2호 / 137 ~ 158페이지
    · 저자명 : 정인선, 정태수

    초록

    본 연구는 소비에트 붕괴 이후 급격하게 변화하는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영화들이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의 작품 전편을 통해 궁극적으로 영화와 사회 현실 재현의 관계 문제에 대해서 탐구했다.
    우선 본 연구는 즈뱌긴체프가 영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다루고 있는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연구한다. 소비에트 시절에는 ‘민족우호’라는 기치아래 인공적인 민족공동체가 형성되었고, 국가와 사회가 가족의 역할을 대신해 주는 가족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민족과 가족이라는 전통적 공동체가 해체되는 현상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가족공동체의 해체라는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단면들을 안드레이 즈뱌긴체프 감독은 ‘부재’라는 개념을 통해서 의미화 시킨다. 감독은 다섯 편의 모든 영화에서 한 명의 가족구성원을 죽게 만드는 윤리적 아포리아 순간을 재현한다. 감독은 윤리적 아포리아의 순간들을 개별영화에서 고도의 상징, 미장센(의상, 색, 화면 구성, 조명), 편집 (교차 편집, 사운드와 영상의 부조화) 등의 영화적 기법을 이용해서 자신만의 형식미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형식미가 영화 속 포스트-소비에트 러시아 사회의 공동체 파괴라는 단면을 관객들에게 설득력 있게 재현한다.
    감독은 개별 작품의 미학적 형식을 뛰어 넘어, 작품들 속에서 ‘부재’의 순간을 통해 윤리적 아포리아를 관객과 반복적으로 마주치게 한다. 이를 통해 그는 ‘공동체 파괴’라는 러시아 사회의 현상에 대해 어떻게 재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관객에게 던진다. 결국 감독은 ‘부재’의 반복을 통해서 완벽히 재현될 수 없는 한계를 지적하는 동시에 ‘부재’를 통해 관객이 러시아 사회의 현상에 대해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만든다. 또 관객이 러시아의 현실에 동감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Andrei Zvyagintsev’s films are reproducing the rapidly changing sections of Russian society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rough his entire work, this study ultimate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lm reality and social reality.
    First of all,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Post-Soviet Russian society that Zvyagintsev continues to deal with in the film. In the Soviet era, artificial ethnic communities were formed under the banner of 'ethnic friendship', and family communities were formed where the state and society replaced the role of the family.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the community of ethnicity and family was dismantled.
    The Post-Soviet Russian society of the dismantling of this family community is signified by the concept of 'absence' by director Andrei Zvyagintsev. The director recreates the ethical aporia moment that kills family members to various reasons in all five films. The director creates his own formal aesthetics by using the moments of ethical aporia in individual films using cinematic techniques such as high symbols, mise-en-scenes (clothing, color, screen composition), editing (cross editing, sound and image). This formal aesthetics convincingly reproduces the section of community destruction of Post-Soviet Russian society in the movie to the audience.
    The director goes beyond the aesthetic form of individual works, and repeatedly encounters ethical aporia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moment of absence in the works. Through this, he casts a question on how he can reproduce the phenomenon of Russian society called ' dismantling of community' to the audience. In the end, the director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at can not be fully reproduced through the repetition of 'absence', and at the same time, 'absence' makes the audience able to reflect on the phenomenon of Russian society. It also makes the audience feel the reality of Russi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