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등체육, 풍요 속의 빈곤 : 새로운 패러다임과 난제 (Poverty in the Midst of Plenty : New paradigm and Challenge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10
14P 미리보기
초등체육, 풍요 속의 빈곤 : 새로운 패러다임과 난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초등체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초등체육학회지 / 26권 / 3호 / 1 ~ 14페이지
    · 저자명 : 장용규

    초록

    본 연구는 초등체육이 처한 현실적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함께 공유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학교체육은 유례없는 풍요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해 학교체육진흥법이 제정되었고, 관련하여 다양한 체육 정책도 전개되고 있다. 특히, 학생 건강체력 평가의 정착, 학교 스포츠클럽의 활성화, 체육 전담교사 배치 확대 등과 같은 정책들은 초등체육 풍요의 대표적인 사례들이다. 체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 등 학교체육 주체들의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연구자는 초등체육 풍요의 근원에는 사회적 요구를 발 빠르게 반영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진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특히,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체육의 잠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는 오히려 위기의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고 주장한다.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편 이후 융합 교육 담론에 오히려 초등체육은 소외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학술적 논의가 부족하다. 핵심역량 교육과정에서 융합교육 담론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핵심역량을 구현할 수 있는 체육의 소재를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미래에 마주하게 될 두 가지 난제를 제안하였다. 첫째는 융합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지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체육의 잠재역량을 믿고 다양한 분야와 소통하고 교류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둘째, 미래사회 학교체육의 소재와 관련된 담론에 관한 것이다. 체육의 소재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함과 더불어 학술적 토론이 이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haring concerns about the real problems faced b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recognized by researcher.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is facing an era of unprecedented prosperity. In order to revitalize physical educ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was enacted, and various sports policies are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policie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ystem(PAPS), activation of school sports clubs, and expansion of departmental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abundance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physical education by teachers, students, parents, etc. is also increasing. The researcher argues that the revised curriculum that quickly reflected social demands also had an effect on the source of the abundance of physica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physical education. Nevertheless, the researcher argues that it is on the verge of a crisis. In particular, after the reorganization of the core competencies curriculum,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as been alienated from the discourse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academic discussions related to this are lacking. In order to form the discourse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core competency curriculum, the researcher argu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material of physical education that can realize the core competencies. It also suggested two challenges that will be encountered in the future. The first is to search for points that can contribute to convergence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suggested that we should believe in the potential competence of physical education and communicate and exchange with various fields. Second, it relates to the discourse related to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in future society schools. It was suggested that serious consideration for the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and academic discussion should be continu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초등체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