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문헌기록 속의 난방관련 단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ing Related Vocabulary as Found in Historical Records)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2
14P 미리보기
역사문헌기록 속의 난방관련 단어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1호 / 437 ~ 450페이지
    · 저자명 : 조원석, 문정인

    초록

    우리나라 전통주택의 발달과정과 당시의 생활상을 조금 더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고고학적 연구결과와 문헌학적 연구결과를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여 설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한국고전종합DB와 고고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사문헌기록 속에서 난방관련 단어가 뜻하는 것에 대한 가설제안을 목표로 한다. 연구는 먼저한국고전종합DB에서 한글 [온돌]에 대응하는 한자 검색자료를 문헌의 저작 년대별로 정리하여 종축으로 하고, 역사문헌이 지칭하는 지역을 횡축으로 하는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시계열적, 지역적 특성 분석하였다. 그리고 고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종합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순서와 방법에 의했다. 첫째 시계열적 특성을 보면, 14세기까지는 <공간의 상태>를 의미하는 난방관련 단어(燠室)의 관찰빈도가 매우 높으며, 사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난방관련 단어인 <溫突> 등은 14세기 초∼15세기 초 문헌에서 관찰되기 시작한다. 이후 15세기에는 <온돌> 등과 같은 사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의 관찰빈도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반면, 공간의 상태를 나타내는<욱실(燠室)>과 같은 단어의 관찰빈도가 낮아진다. 그리고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사물의 상태를 지칭하는<온돌>이라는 단어와, 공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온방(溫房)> 등의 단어가 동시에 관찰된다. 이와 같은 이와 같은시계열적 지역적 특성은 고고학적 연구결과와 유사한 흐름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역사문헌 기록 중의 <온돌>은생활면으로 확장된 바닥으로 난방 및 축열, 배연기능을 갖는 난방설비를 지칭하며, <욱실>은 공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로 생활 바닥면으로서 기능이 확대되기 이전 단계의 배연구조만 있는 난방설비가 설치되어 따뜻한실내 환경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영어초록

    In order to bring more light o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traditional housing and people’s lives in ancient times, we need to provide descriptions that tap into the intercomplementary combination of the archeological research results and philological research results. Accordingly, this thesis aims to put forward a hypothesis on what the heating related vocabulary means in the historical records, based on the Korean Classics Database and the archeological research results. The study first compiled the Sino-Korean search data matching the Korean ondol from the Korean Classics Database and took it as the axis of ordinates, and then, created the axis of abscissa from the regions referred to by the historical records. With these axes, the study created a matrix and analyzed the time-serie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equence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such that a comprehens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archeological data, from which the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time-series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heating-related term of uksil (燠室), which meant ‘the condition of space’, registered a very high frequency of observation until the 14th century. And those heating-related terms that describe the condition of things such as ondol (溫突) were not found in records until the early 14th century to the early 15th century. In the 15th century, those words that showed the condition of things such as ondol registered a continuously increasing frequency of observation, whereas words like uksil were observed with decreasing frequency. And between the 16th century and the 18th century, both the words like ondol referring to the condition of things and those like onbang referring to the condition of space were observed. And these time-series characteristics show a pattern that resembles the archeological research results. Therefore,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term of ondol found in the historical records should be read as referring to the expanded floor in residential space, that is, the heating facility with heating, thermal energy storage, and smoke exhaust features, whereas the term of uksil that indicates the condition of space refers to the indoor space with heating facilities that include the smoke structure al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