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리데기> 속 폭력의 양상과 그 현대적 의미 (A modern interpretation on violences displayed in )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2.09
25P 미리보기
&lt;바리데기&gt; 속 폭력의 양상과 그 현대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어문연구 / 74호 / 505 ~ 529페이지
    · 저자명 : 이경화

    초록

    본고에서는 <바리데기>가 굿판에 모인 사람들에게 위안의 서사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전라도본을 대상으로 <바리데기> 속 폭력의 양상과 현대적 의미를 논의했다. 먼저 <바리데기> 속 부모의 폭력과 그에 대한 부모와 바리데기의 태도를 살펴보았다. 부모에게 바리데기는 아들을 낳지 못했다는 부끄러움을 떠올리게 하는 대상으로 머무르며, 부모는 반성하지도 사과하지도 않는다. 바리데기는 자신이 당한 폭력을 폭력이라 인지하며, 부모에게 그것을 잘못이라 지적한다. 그런데 부모의 부재는 큰 결핍이며 관계 회복의 주도권은 부모에게 있다. 이에 바리데기는 부모의 기대를 충족시킴으로써 관계를 회복하고자 구약여행을 떠난다. 바리데기는 약을 구해오는 것은 물론 외손봉사로 자신이 버림받았던 원인을 해결함으로써 아버지로부터 신직을 부여받고, 가족의 일원으로 인정받는다.
    <바리데기>는 원인이 해결되면 폭력이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는 낙관적인 시각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을 벗어난다는 선택지가 없었던 때에는 가족의 회복이 최선의 해결책이었으므로 바리데기가 가족으로 포섭된다는 점, 피해자의 목소리가 담겨 있다는 점에서 <바리데기>는 당시 사람들에게 위안의 서사가 될 수 있었다.
    지금의 사람들은 <바리데기> 속 가족 이야기를 ‘옛것’이라고 말하고 비판하지만, 서사 속 폭력에의 시각은 지금까지도 제도에 의해 존속되고 있다. 바리데기 속 폭력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에서 <바리데기> 속 고난과 바리데기의 목소리는 지금도 누군가에게는 위안을 안겨줄 것이다. 한편으로 <바리데기> 속 가족으로의 회귀가 이상적인 선택지였다는 점이 지금도 유효하다는 점은 현재의 한계를 떠올려보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바리데기>가 위안의 서사로서의 의미에 더해 지금의 사회를 돌아보게 하는 서사로서의 의미 또한 갖는다고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First, we looked at the violence of parents in <Baridegi> and the attitudes of parents and Baridegi toward it. Parents do not reflect on their violence. For them, Baridegi is only the existence of necessary for health recovery and the shame of not having a son. On the other hand, Baridegi criticizes his parents. However, for Baridegi, the absence of parents is a deficiency. Baridegi goes journey to relieve the deficiency. She wants to resotre the relationship by fulfilling his parents' expectations.
    <Baridegi> perceives parental violence as a problem and contains Baridegi's voice about hurt. But it shows overly optimistic view to violence, that if the cause is removed, the violence will not be repeated, and the resolution of the deficiency can heal the wounds of the past. When there was no option to leave the family, the recovery of the family was the best solution. Therefore, <Baridegi> was a comforting story to people at the time in that it contained the victim's voice and she became a part of the family. However, it is no longer a comforting story because the view of domestic violence has changed.
    However, the social system against domestic violence has not changed sufficiently, and the victims are still staying in the family. The inadequacy of the system is same as hoping that all wounds will be healed by embracing the victim by the family as in <Baridegi>. People say that the family story in “Baridegi” is "old," but the perspective on violence that this implies is still maintained by th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어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