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남준의 비디오예술 속에 나타난 불교정신 (A Buddhist Spirit Shown in the Video Art World of Paik, Nam Jun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8.12
19P 미리보기
백남준의 비디오예술 속에 나타난 불교정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50호 / 227 ~ 245페이지
    · 저자명 : 윤양호

    초록

    모든 것이 예술이 될 수 있다는 시각이 확대되면서 현대예술과 그 창작에 있어서 표현과 사상은 더없이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현대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개념의 확산에 크게 기여한 대표적 사람이 백남준이다.
    백남준의 예술은 비디오예술로 대표된다. 그 특징은 기존의 전통적 미학이나 표현 기법을 탈피하여 가능한 모든 방법으로 사람들에게 새로운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켰다는 데에 있다. 때로는 충격으로, 때로는 파괴로, 때로는 혼돈 등의 방법을 동원하여 기존의 질서를 넘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가고자 했던 그의 노력은 현대예술사에서 성공적이라 평가된다. 백남준 예술의 근저에는 무엇보다 불교 정신이 그 핵심적 사상으로 작용하고 있다. <금강경(金剛經)>의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基心)”과 <반야심경(般若心經)>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은 백남준 예술에 있어서 새로운 정신적 토대로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자연과 대상에 대한 일원론적 성찰과 시공을 초월하는 인식의 확장은 순간포착을 통한 깨달음의 또 다른 모습을 보여주었다.
    동양과 서양의 접점에 위치하고 있으면서도 백남준의 예술세계는 결코 동양적 이기만을 주장하지 않았으며 동시에 서양의 이원론적 중심에도 치우치지 않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오히려 그의 작품은 물질적인 것을 추구하지 않으며 질료를 넘어선 인간 내면의 깨달음을 추구하는 수행자적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기존의 수행방법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성찰하여 그 속에 잠재된 자신의 본모습을 발견해가는 것을 수행이라 할 때 바로 백남준의 예술이 여기에 속한다고 생각한다.
    그의 예술세계를 단적으로 속단할 수는 없지만 그의 초기작품 중 くTV부처〉에서 나타나는 내용은 그의 예술관을 형성하는 초기의 정신성을 표현한다는 측면에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이후 레이저를 이용한 이후의 작품들에 까지 보여주었던 불교정신과 선사상은 무엇보다 백남준 예술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작품세계에 있어서 불교와 선사상의 예술적 발현과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되어져야할 과제라고 본다. 이에 백남준 예술에서의 불교 미학적 요소를 도출하기위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With the expansion of view that everything can be an art, expression and ideology in contemporary art and creative works have become more diversified. In this point of view, the person with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contemporary art would be Paik, Nam June.
    Art of Paik, Nam June is represented in video art. Its characteristics would be in provoking the conversion of new recognition for people with all possible means by deviating from the existing traditional aesthetics or expression technique. Sometimes, it comes as a shock, as a destruction, or method of chaos, his effort has gone beyond the existing order to create new value and it would be a great success in the contemporary art history. On the foundation of the Paik, Nam June art would have the Buddhist spirit working as the core ideology thereof. 'Ungmusojuisaenggisim" of <Geumganggyeong> and "saekgeuksigong Gongjeuksisaek" of <Banyasimgyeong> would be considered as the new spiritual foundation of the Paik, Nam June art. Unilateral contemplation on nature and subject and expansion of recognition beyond the time and space would display another appearance of enlightening through the moment of time.
    While placed at the cross point of the East and the West, the art work of Paik, Nam June did not persist on being the East while not leaning on the dualistic orientation of the West at the same time. Rather, his works do not persuade materialistic goals and they display the appearance of ascetics who seek for the internal enlightening beyond the pigment of the outcome. As it is defined as discovering true self within by contemplating the human aspect, not simply following the existing performance method, the art works of Paik, Nam June would fit just fine in this context.
    His art world cannot be summarized at will, but the contents shown on one of his earlier works, くTV Buddha〉, would be highly praised in the aspect of expressing the early spirituality that formed his view on arts. Thereafter, the Buddhism and Zen ideology shown in the recent works by using the laser would be important features of the Paik, Nam June art. In his world of art works, the studies on artistic manifestation of Buddhism and Zen ideology and the value thereof would be the task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Thereafter, this study is undertaken to formulate the aesthetic elements of Buddhism in the Paik, Nam June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