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르트르 속의 헤겔 : 사르트르의 대타존재론 (Hegel in Sartre: Sartre's Concept of Being-for-Oth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10
28P 미리보기
사르트르 속의 헤겔 : 사르트르의 대타존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78권 / 4호 / 465 ~ 492페이지
    · 저자명 : 이성환

    초록

    이 논문은, 근대에 형성된 개인이 어떻게 상호관계를 맺는가를 살펴보는데 있다. 근대 개인은 자기(자아)를 자각한 존재이다. 데카르트에게서 비롯된 자기의식으로서의 자아는 자기의식의 확실성이 갖는 중요성만큼 넘기 어려운 문제를 남겼다. 그것은 다름 아닌 타자 존재의 증명이다. 의식이 자기 확실성을 지니게 되는 구조는, 바로 그 구조 때문에 유아론이라는 늪에 빠지게 된다. 헤겔은 이를 <정신현상학> 내의 ‘자기의식’의 장에서 사람이 ‘자아의식’을 갖는 결정적 계기가 타인을 매개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 줌으로써 극복한다. 사르트르는 헤겔의 이 점을 천재적이라 찬양하면서, 그 입장을 수용하여 자기의 이론을 세운다.
    사르트르는 헤겔의 노동을 매개로 한 투쟁을 의식의 자유를 건 존재론적 투쟁으로 바꾸고, 이 투쟁을 눈길의 투쟁으로 정리한다. 즉 이 투쟁은 서로 간의 눈길 속에 타유화된(소외된) 대타존재를 승인하는 문제가 된다. 승인의 문제는 의식 속에서 일어나는 문제이고, 이것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중요한 고리가 된다. 사람의 존재가 의식이고, 의식이 존재론적으로 ‘자유’인 한, 사람의 관계는 이 ‘자유’를 전제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런 점에서 사람 사이의 관계는 타인의 자유를 어떻게 소유하는가에 달려 있게 된다.
    사르트르는 ‘자유’를 매개한 사람 사이의 관계를 순차적인 두 가지 태도로 나눈다. 첫 번째 태도는 스스로 자유를 포기하는 사랑과 마조히즘이며, 두 번째 태도는 타인의 자유를 물화시키는 성적 욕망과 사디즘이다. 우리가 새로운 인간관계를 꿈꾸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나 윤리를 모색한다면 무엇보다 개인과 개인의 ‘자아’를 바탕으로 한 데카르트적 전통의 인간관을 검토하지 않을 수가 없다. 나는 그런 점에서 데카르트적 전통에 충실한 사르트르의 대타존재를 매개한 사람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라 믿는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he individuals, the concept of which was brought to life in modern era, mak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Descartes demonstrates the certainty of self-consciousness, but he leaves a problem unsolved, which is how to prove other's existence. By definition of consciousness, Descartes's argument is trapped into solipsism. Hegel solves this aporia stating that self-consciousness is possible only by engaging in others. The argument appears in the chapter of self-consciousness of his book <Phenomenology of Mind>. Sartre gives high praise to Hegel for the argument, and builds up his own theory on the basis of Hegel's.
    Sartre converts Hegel's concept of struggles via labor to an ontological struggles for freedom of consciousness. He puts forth struggle of the look. The struggles are how to recognize Being-for-Others, which is alienated by the look of each other. The recognition is being done in consciousness, and its procedures are an important link between a person's being and the other's. A person's being is its consciousness. The consciousness is ontologically free so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is based on the freedom too. Now, the problem is how the free beings make a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In other words, how does a free being deal with or possess the other free being? The relationship depends on how to control other's freedom.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ased on freedom of both participants engaged, Sartre suggests two different attitudes one after another. The first one is love and masochism, and the second one is sexual desires and sadism. The love comes along giving up one's freedom, and the sexual desires come out with objectifying the other's freedom. If we are to dream new relationship, and aim to seek new society and new ethic, we need to examine Cartesian self based on individuals. Therefore this pape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mediated by Being-for-Others, the concept of which is a true successor of Heg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