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桐巢漫錄』이 재조명한 許積의 면모와 그 의도 (The aspect and intention of Heo Jeok re-examined in 『Dongso-Manrok』)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4.12
26P 미리보기
『桐巢漫錄』이 재조명한 許積의 면모와 그 의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92호 / 231 ~ 256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현

    초록

    허적은 숙종 초 남인 정권을 이끌었으나 경신환국으로 서인에게 정권을 빼앗겼다. 서인의 정적일 뿐 아니라 남인을 분열을 초래한 탓에 남인에게도 비판 받았다. 그런데 남인 당론서를 대표하는 남하정의 『동소만록』은 허적의 능력을 재조명했다. 기존의 당론서 연구는 당론서 전체에 담긴 저자의 당론에 초점을 맞췄다. 하지만 남인의 경우, 대상 인물이나 사건마다 다르게 작용하는 저자의 관점과 이를 받쳐주는 서술 방식까지 이해할 필요가 있다. 청남‧탁남의 계파성이 남인 당론서의 저자와 대상 인물 모두에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동소만록』의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 허적의 실무 능력과 경신환국 당시 서인의 공격을 부각시키면서 남인 내부의 문제에 침묵했음이 입증됐다. 남인 측에 허적과 같은 실무형 인재가 부족하다는 진단과 청남‧탁남에서부터 반복된 남인의 분열을 극복하려는 의도였다. 우리의 진정한 적이 누구인가, 싸움의 목적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두고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다. 이러한 의중은 허적을 권간으로 본 헤게모니의 이면에서, 문학과 정치 양면으로 실현됐다. 특히 남인 스스로 또 다른 ‘청남’과 ‘탁남’을 만들며 분열할 때마다, ‘두 과부의 싸움’이라는 남하정의 목소리가 자연스레 소환됐다.
    이 연구를 통해 작가가 과거의 인물을 소환함으로써 당대 정치‧사회를 겨냥한 의도를 내비친 사례를 확인 가능하다. 나아가 청남‧탁남에서 출발한 내분이 남인의 역사 내내 되풀이된 점까지 규명했다. 남인에게 청남‧탁남 문제는 딜레마였다. 역사상 유일한 집권이자 처참한 자멸의 경험이었다. 18세기 남인이 이를 어떻게 정리하고 해명하고자 했는지 보다 깊이 고찰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Heo Jeok led the Nam-in(南人) faction during the early days of King Sukjong's reign. But he lost power to the Seo-in(西人) faction due to the GyeongsinHwanguk(庚申換局). Not only was he a political adversary of Seo-in, also faced criticism from Nam-in for causing its internal division. Existing studies have focused on the author's political theory contained within the whole documents. In the case of Nam-in, we have to identify the author's perspectives that differ depending on an individual or an event, as well as the narrative styles that support his perspectives. Because the factionalism of the Cheong-nam(淸南), who followed Heo Mok, and the Tak-nam(濁南), who followed Heo Jeok, influences both the authors and the object person.
    So, the analysis of the article on Heo Jeok in the Nam-in's represen-tative party doctrine texts 『Dongso-Manrok(桐巢漫錄)』, reveals that Nam Ha-jeong emphasized Heo Jeok's practical skills and schemes of Seo-in, while maintaining a thorough silence about the internal issues. The intention was to highlight the diagnosis that there was a lack of practical talents during Nam Ha-jeong's time, and to overcome their internal strife that had recurred from Cheong-nam‧Tak-nam. It is a contemplation on the questions of who the true enemy is and what the purpose of the struggle is. This intention was realized in both literature and politics, opposing the mainstream who branded Heo Jeok as a traitor. Particularly, whenever Nam-in created another ‘Cheong-nam’‧‘Tak-nam’ and experienced internal divisions itself, the voice of Nam Ha-jeong, who attempted to reconcile the factional conflicts, was naturally invoked.
    Through this study, we can identify instances in which the author has realized certain intentions aimed at contemporary politics and society by invoking a figures from the past. Also it has demonstrated that the internal strife, which originated from the factions of Cheong-nam and Tak-nam, continued to recur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Nam-in. For Nam-in, the issue regarding Cheong-nam and Tak-nam was a dilemma. It was both the sole experience of governance and a tragic self-destruction. We need to inquiry how they reconcile and elucidate this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