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채소기피 아동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채소 기피 관련요인 (The status of nutrient intake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5.04
12P 미리보기
채소기피 아동의 영양소 섭취상태와 채소 기피 관련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0권 / 2호 / 151 ~ 162페이지
    · 저자명 : 구언희, 서정숙

    초록

    본 연구는 채소를 기피하는 초등학생들의 영양소 섭취상태, 채소 기피양상과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채소기피 아동의 영양적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어린이들에게 바람직한식생활을 유도하기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총 144명으로 대조군 69명(남 42명, 여 27명) 채소기피군 75명(남 45명, 여 30명) 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의 식행동 점수에서는 채소기피군보다대조군이 남녀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하루에 채소를 먹는 횟수는 대조군의 81.2%가 3회이상을 먹는다고 한 반면, 채소기피군은 20%만이 하루 3 회 이상 채소를 먹는다고 하였으며, 채소를 전혀 섭취하지않는다고 한 아동도 32%나 되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식사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대조군의 63.8% 가 영양을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나 채소기피군은 56%가맛을, 41.3%가 영양을 중요하게 여겨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 < 0.05). 맛은 없지만 영양가 많은 음식에 대한 태도에 관한 문항에서 채소기피군은 대조군에 비해 싫어하는음식에 대해서는 먹지 않는 성향이 많았다(p < 0.001).
    3) 영양지식 점수는 남아의 경우 대조군은 7.0점이고 채소기피군은 5.2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1).
    여아의 경우에는 대조군이 6.6점, 채소기피군은 5.4점으로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대조군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대조군 6.8점, 채소기피군 5.3점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 < 0.001).
    4) 식품기호도는 5점 만점으로 환산한 결과, 대조군이평균 4.48점, 채소기피군이 평균 3.25점으로 채소기피군의 식품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5) 채소기피 아동군에서 채소를 먹지 않는 이유를 보면 색이 좋지 않아서(66.7%), 예전에 먹었을 때 맛이 없던 기억때문에(73.3%), 채소가 비위를 상하게 하기 때문에(89.3%) 등이 높게 나타났다. 싫어하는 채소의 색에 대해서는 대조군(64%) 채소기피군(32%) 모두가 검은색을 가장 싫어한다고 하였으나 가장 싫어하는 채소의 조리법으로는 대조군은 튀긴 것 (37%) 채소기피군은 생채소 무친 것(54%)을들어 차이를 나타냈다. 또 대조군과 채소기피군에서 공통적으로 느끼한 맛 때문에 채소가 싫다고 하였고, 가장 싫어하는 채소의 질감은 대조군의 35%, 채소기피군의 34%가 물컹한 채소를 싫어한다고 하였다.
    6) 대상자의 영양소 섭취량을 보면 열량의 경우 대조군이 권장량의 101.2%, 채소기피군이 87.7%로 채소기피군이 열량 부족을 보였다. 또한 비타민 A (p < 0.05), 비타민C (p < 0.01), 비타민 B2 (p < 0.05), Ca (p < 0.01), P (p < 0.01), Fe (p < 0.01), Zn (p < 0.01)의 섭취량은 채소기피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7) 식행동 점수는 열량, 비타민 C, 비타민 B2, Ca, P, Zn 의 섭취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영양지식 수준은비타민 C와 Ca의 섭취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채소기호도와 상관관계를 보인 영양소는 열량, 비타민 A, B2, C, niacin, Ca, P, Fe, Zn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양지식이 부족하고 식행동도 대조군에 비해 좋지 못한 초등학생이 주로 채소를 기피하였고 그에 따라 비타민 A, folic acid, Ca, Fe, Zn 등비타민과 무기질의 미량 영양소 상태가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채소를 기피하는 초등학생들의 영양불량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식행동 수정을 유도할 수 있는체계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지속적인 영양교육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dislike of vegetables in the students who avoid eating vegetable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VDG (vegetable dislike group, 75 children) and control group (69 children) by amount of vegetable left in school feeding. The survey included the ite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etary behaviors, nutrition knowledge, food preference, reason for dislike of vegetables and nutrient intake of the subjects.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control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VDG. The average score of food preference was 4.9 and 4.7 in control and VDG groups respectively. The preference score of root vegetables was the lowest in subjects. In the view of nutrient intake, the calorie intake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VDG. Protein intake of control and VDG was enough as compared with their RDA.
    Except vitamin E, most nutrient intake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VDG. VDG consumed lower calorie, vitamin A, vitamin B2, vitamin C, Ca, P, Fe and Zn than 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in the subjec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tatus of some vitamins and minerals intak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VDG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ausing low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such as vitamin A, Ca and F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2): 151 ~ 162, 2005)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ffdG. PROTEIN INTAKE OF CONTROL AND ffdG WAS ENOUGH AS COMPARED WITH THEIR rda. eXCEPT VITAMIN e, MOST NUTRIENT INTAKE OF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ffdG. ffdG CONSUMED LOWER CALORIE, VITAMIN a, VITAMIN b2, VITAMIN &cent;, &cent;A, P, FE AND fflN THAN 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 KNOWLEDGE IN THE SUBJECT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STATUS OF SOME VITAMINS AND MINERALS INTAKE.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ORES OF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 OF ffdG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AUSING LOW INTAKE OF VITAMINS AND MINERALS SUCH AS VITAMIN a, &cent;A AND FE. (KOREAN J &cent;OMMUNITY nUTRITION 10(2) : 151 ~ 162,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