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 구매 행동에 따른 의류매장의 스마트 환경 연구 (A Study on the Smart Environment of Clothing Store According to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2
12P 미리보기
소비자 구매 행동에 따른 의류매장의 스마트 환경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1호 / 45 ~ 56페이지
    · 저자명 : 오정아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및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환경이 급속하게 변화되면서, 현재의 오프라인 매장은 온라인(모바일) 구매 채널에 밀려 큰 위기를 맞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의 단계에 따른 소비 행위요소를 추출하고, 이와 접점을 갖는 매장 공간구성요소와 이를 지원 가능한 IT/디바이스의 활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구매 프로세스 단계별 공간구성요소의 효율적 활용 방안에 대한 기초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향후 옴니채널 전략에 기반한 의류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데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구매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구분하고 발생 가능한 행위의 종류를 추출한다. 둘째, 의류 매장의 공간 구성요소를 추출한다. 셋째, 매장 사례분석을 통해 매장 내 IT 기술 및 관련 기기 또는 서비스의 활용 현황을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매장 내 활용 가능한 IT기술이나 관련 서비스를 도출한다. 넷째, 분류한 구매 프로세스의 단계별 유발 가능한 소비행위를 정리하고, 각 행위와 소비자와의 접점 역할을 하는 매장공간구성요소 및 이를 지원하는 활용 가능한 IT/디바이스의 역할을 종합하여 스마트한 의류매장 계획을 위한 기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매 프로세스는 인지-체험-비교-구매-구매 후 평가의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인지단계는 매장 외부에서 인지하는 매장 정보 등으로 쇼윈도 감상, 쿠폰 자동수신 등이 포함되며, 따라서 쇼윈도, 출입문 등에 디지털 사이니지와 개인 맞춤형 정보 송출 서비스를 적용할 수 있다. 체험은 상품 자체에 RFID, QR코드 등을 활용할 수 있으며, 쇼케이스, 행거 등에 고객이 터치 또는 고객의 움직임 감지 센서를 활용해 상품 관련 이미지나 정보, 후기 등을 송출하는 키오스크 계획이 가능하다. 또한 상품 착장을 통한 체험 시 탈의실과 거울은 VR기술을 활용해 간접적 상품 착장 이미지나 착장한 상품의 타 색상 및 사이즈를 비교할 수 있도록 스마트한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비교 단계에서는 체험한 상품의 디자인, 색상, 가격 등의 비교가 중요한 만큼 개이니 스마트폰이나 매장 내 비치된 인터렉티브 스크린에서 자유롭게 상품 상세 정보 및 관련 상품 검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스마트한 환경을 구성해야 한다. 구매와 구매 후 평가 단계에서는 계산대에서 결제를 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의 최소화를 통해 결제 편의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결론) 쇼루밍족이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이들의 적극적인 대응을 위해서는 온오프라인을 통합하는 옴니채널 전략 제공과 더불어, 이들을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스마트한 매장 환경 구축이 중요하다. 현재 스마트 매장의 경우 무인매장의 시장 진입이 본격화되는 현황으로, 향후 이들을 보다 적극적으로 도입한 의류환경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As consumer environments rapidly change with advancements in online and mobile technologies, current offline stores are facing a major crisis driven by online (mobile) purchasing channels. Aft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ended to extract consumption elements in the shopping process, this study proposes ways to utilize store components, IT devices, and the service strategy that supports them. Through th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basic guidelines on how to utilize the space components in each step of the shopping process and provide data that can be used in planning clothing stores, based on Omni Channel strategy in the future. (Method) The research method began with a literature review where possible types of shopping activity were delineated in an examination of the shopping process. We then examined the spatial arrangements of clothing stores, whereupon the use of IT technologies and related devices or services in the store was analyzed through case study. Based on this, IT technologies or related services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in clothing stores were determined. Basic guidelines for smart clothing store planning were then drafted by identifying store components that serve as an interface between each shopping process activity and the role of an available IT/device that supports i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urchase processes can be divided into five stages—awareness, experience, comparison, purchase, and review. The recognition phase includes display window monitoring and automatic receipt of coupons, which are recognized outside stores; so digital signage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transmission services can be applied to display windows and doors. In the experience phase, RFID and QR codes can be embedded on the products themselves; interactive kiosk plans can be applied to the showcase; and hangers can send images, information, and reviews related to products by using touch or motion sens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mart fitting room and mirror that can visualize a virtual image of the product design, colors, and sizes by utilizing VR technology. In the purchase and review phase, the ease of payment should be maximized by minimizing the wait time at the counter to make a payment. (Conclusions)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growing trend of showrooming, it is important to apply Omni Channel strategy and create a smart shopping environment that supports shoppers’ purchase needs. As the entry of self-service stores into the market has fully commenced, it is expected that a more aggressive planning strategy in creating smart clothing store environments will be neede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