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은유로서의 포로 :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 한국전쟁 포로들의 UN군 관리 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POWs as Metaphor : Life in concentration camps and the politics of distinguishing between “enemies and allies” - A focus on Korean War POW’s experience in UN-managed concentration camp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2
53P 미리보기
은유로서의 포로 : 수용소의 삶과 ‘적/ 동지’의 구별 정치 - 한국전쟁 포로들의 UN군 관리 수용소 체험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46권 / 9 ~ 61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포로들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느 전쟁에서나 발생하지만, 한국전쟁에서 포로라는 사안은 좀 더 각별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제로, 한국전쟁은 포로 개인의 자유의사를 존중하여 이들이 향후 국적을 선택할 수 있게 한 이른바 ‘자원송환(Voluntary Repatriation)원칙’이 국제적 논쟁 끝에 도입된 최초의 전쟁이었다. 그 결과 포로란 ‘정치적 망명권’이 부여된, “자유로운 의사를 가진 개인이라는 미국식 자유주의의 원칙”을 전면에 내세운 개념으로 규정되기에 이른다. 원칙적으로, 이제 포로들은 출신 국가에 자동 귀속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으로 미래 ‘국민’의 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존재가 되었다. 그러나 이 글은 외부에서 부과된 규정이 아닌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다양한 형태의 글쓰기 내부로부터, 말하자면 포로들 자신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한국전쟁 포로란 과연 어떤 존재였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해보려는 시도이다. 포로들 스스로에 의한 자기재현(self-representational)적 글쓰기는 포로에 관한 국제법적 개념이 정작 당사자인 포로들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를 되묻고, 또한 해당 개념이 당시 현실 속에서 실제적으로 수행(performance)한 효과들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게 만드는, 의미 있는 아카이브이다.
    포로들의 체험적 서사를 통해 이 글이 밝히고자 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포로들은 국제법과 UN의 권위에 의해 정의된 존재이기도 했지만, 동시에 그들은 은유적인 의미에서 남한 냉전 주체의 원형이라 할 만한 존재들이었다는 점이다. 그들은 절박한 ‘국민-되기’의 글쓰기를 생산함으로써 ‘자유로운 개인’이라는 이상적(ideal) 휴머니즘의 원칙이 냉전의 현실 정치 논리 속에서 굴절되고 습합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둘째, 이 글은 포로들의 시점을 취한 텍스트가 재현 작용 특유의 역량을 통해 상황을 ‘증언’하고 있다는 점 또한 강조했다. 이 글에서 사용하는 증언의 의미는 “망각에 대항해서 ‘학살’의 기억을 잊지 말자”는 식의, ‘망각’ vs ‘기억’의 대립 구도로 축소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중언과 관련해 이 글에서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은 오히려 ‘기억해야 할 것’과 ‘망각해야 할 것’을 지시하는 “발화 주체의 위치 설정”이며,“국민의 이야기와는 다른 위치 설정”을 읽어내려는 대안적인 독서와 해석의 가능성이다.

    영어초록

    The issue of appropriate treatment of POWs is a common topic of discussion in every war. Nevertheless, the issue of the POWs from the Korean War requires particular attention. In fact, after vigorous international discussion on the matter, the Korean War became the first to implement so-called “voluntary repatriation,” a principle stating that POWs’ free will should be respected by allowing them to choose their nationality at the end of the war. As a result, POWs came to be defined under the principle of American liberalism:individuals with free will and a “right of asylum.” In theory, POWs became individuals with a right to acquire the “citizenship” of their choice, rather than automatically returning to their country of birth. However, the present articl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 of the identity of Korean War POWs by examining various forms of writing by the POWs themselves, that is, their own narratives of their experiences in the war, unadulterated by the definitions given to them by external agents. The POWs’ s elf-representational writings are meaningful archives that allow us to examine the ways the concept of POWs as defined by international law played out in their lives, as well as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practical effects of this concept at the time.
    By examining the POWs’ experimental narratives, the present article sought to uncover two things. First, although the POWs were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law and authority of the UN, they were also the main agents of the South Korean cold war in analogical terms. By producing desperate writings about “becoming citizens,” they demonstrated the distortion and compromise of the principle of ideal humanism—the “free individual”—by political logic in the cold reality of the war. Second, the paper emphasized that the texts written from the POWs’ perspectives “testify” to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through the typical effect of reproduction. The meaning of “testimony” used in this article is not to be reduced to a simple conflict between “oblivion” and “memory,” emphasizing the need “to fight against oblivion and not to forget the memory of the ‘massacre’.” By contrast, this article focuses on “setting the position of the speaker” who orders “things to be remembered” and “things to be forgotten” and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reading and interpretation that attempts to sense a “positional setting different from citizens’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