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유가치창출(CSV) 시대의 소비자 연구 제안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an Era of Creating Shared Valu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4.06
22P 미리보기
공유가치창출(CSV) 시대의 소비자 연구 제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5권 / 3호 / 141 ~ 162페이지
    · 저자명 : 나종연, 김학균, 김학진, 이유리, 이진명

    초록

    최근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공유가치창출(CSV)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CSV는 아직 생소하고 모호한 개념으로 공유가치가 정확하게 무엇이며, 공유가치를 창출하는 전략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활용하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CSV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높이고 CSV가 실무영역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CSV의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CSV를 학문적, 실무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 향후 연구의 방향과 실천 과제들을 제언하였다.
    CSV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을 재분배를 통해 사회에 환원하는 CSR과 달리 사회적 문제를 기업의 경제활동과 일체화시켜 기업과 사회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가치의 총량을 확대하는 발상의 전환을 의미한다. CSV는 사회적 문제를 전략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기업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보았다는 점에서 분명한 강점을 지니나 이론적 독창성과 개념의 모호성, 지나치게 이상적이라는 점 등에서 제한점을 갖는다. 아직 태동기에 있는 CSV 패러다임이 건강한 사회, 건강한 자본주의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가치창출에 관련된 모든 사회구성원들의 통합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학문영역에서는 사회적 가치의 정의 및 CSV 혜택의 범위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고, 공유되는 가치 영역의 최적점(optimal point)을 찾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및 가치의 하위요소들 간의 갈등과 이를 완화시키는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CSV의 패러다임이 기존 자본주의의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Porter와 Kramer가 기업만을 CSV의 주체로 본 것에서 나아가, 소비 의사결정의 주체인 소비자의 영향력과 역할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영어초록

    The term CSV(creating shared value) which refers to the notion of pursuing social and economic value simultaneously has been gaining a lot of attention lately. The idea was first introduced in 2011 by Porter and Kramer, and soon it became sensation among leading companies all over the world, Korea being no exception. As Korea recently experienced market problems where economic value such as efficiency and social value as reviving small business collide, CSV becam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Korea, too. CSV has the obvious advantage in the point of seeing a social problem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corporate competitiveness.
    However CSV is only a recent concept and its limits have been raised which include the lack of theoretical originality, conceptual ambiguity, and excessive idealism. CSV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 where only framework concept is presented. A review of Korean literature on the topic revealed that research thus far have been limited to the topic of business strategy development and empirical studies showed that the notion of CSV has not yet been cleared distinguished from the notion of CSR. Also, the number and scope of research on the topic thus far is very limite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CSV, the market environment and changes behind the introduction of CSV was reviewed, and the notion of CSV will be comprehensively explained. Second, theoretical and practical limits that CSV has are critically investigated. Third, future subjects of study and practical tasks with regard to CSV are proposed. An integrative effort of all members of society in relation to value creation is required for CSV implementation. A company should make the structure of company in general so that CSV implementation is possible. And the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should actively support and cooperate so that the company can sufficiently display ability that the company has. Besides, consumers should recognize a role of consumer citizen, and should take an interest in the activities of company,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In the academic area,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concept of created value and the range of benefits through CSV. And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find what is intersection of sets of economic value and social value previously regarded as antagonistic to each other, and to find the optimal point of shared value area. Besides, we should carry out a study on a conflict between the stakeholders concerned in CSV and a plan of relieving it. We should eventually think whether the paradigm of CSV can overcome the problem of conventional capitalism and can act as an engin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in the point of expanding a discussion focusing on the influence and role of consumer that is the subject of consumption decision-making, going further than Porter and Kramer's study that regarded only company as the subject of CS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