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Genres and Representations in ShaoYungGoSaDo(Narrative painting of Shao Yung as a historical figure) during Late Joseon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1.03
36P 미리보기
조선후기 邵雍故事圖의 유형과 표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 수록지 정보 : 석당논총 / 49호 / 55 ~ 90페이지
    · 저자명 : 송희경

    초록

    ‘조선후기 소옹고사도의 유형과 표상’은 소옹(邵雍, 1011-1077)의 고사인물화를 선별하여 양식과 형식을 기술하고 제재안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며 다양하게 표출된 시각언어를 고찰하고자 시도된 논문이다. 소옹은 주돈이(周敦頤, 1017-1073), 정호(程顥, 1032-1085), 정이(程頤, 1033-1107), 장재(張載, 1020-1077), 사마광(司馬光, 1019-1086)과 함께 북송 육현(六賢)이라 명명되었던 당대 최고의 지식인이었다.
    독특한 일화나 행적을 바탕으로 한 소옹고사도 중에서 가장 많이 제작된 제재는 사마광과의 일화를 그린 화외소거(花外小車)와 그의 『어초대문(漁樵對問)』에 나오는 구절을 토대로 한 어초문답(漁樵問答)이다. 화외소거와 어초문답을 포함한 많은 소옹고사의 제재들은 성현고사첩에 포함되기도 했고, 별도의 작품으로 독립되었다. 다른 성현의 고사도 역시 이러한 특징을 함유하고 있지만, 소옹의 경우처럼 육현과 함께 장첩되며 저서에 근거한 제재까지 시각화 된 예는 매우 드물다. 이것이 조선시대 고사인물화에서 소옹고사도의 차별화된 특징이자 의의이다.
    소옹은 동시대 성리학자였던 사마광이나 주자만큼 지명도가 있지 않았지만 문인들의 기억에 항상 존재했던 사상가이자 문학가였다. 흠모했던 스승에 대한 추억은 위엄과 덕을 지닌 군자상으로, 철학과 문학을 사유한 고사상으로, 청담으로 진리를 전달한 처사상으로 화면에 승화되었다. 조선시대의 소옹고사도에서 참선비의 도학과 안락을 누릴 수 있는 이유이다.

    영어초록

    Shao Yung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learned men of his time belonging to six sage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along with Zhou Dunyi, Cheng Hao, Cheng Yi, Zhang Zai, and Sima Guang. Scholars in later times remembered him as a mathematician with unparalleled knowledge of nature including cosmogony based on principles of IChing(BookofChanges) and a philosopher who developed it into a system of thinking. In addition, he was notable with a gift to be able to foresee things in the future, and respected as a hermitish literary man and poet who kept avoiding governmental positions throughout his entire life.
    Shao Yung left a number of stories which served as good subjects for painting. He was often depicted along with a group of saints or sages of his time who represents the genealogy of Taoism. Additionally, he was chosen as one of subjects in paintings along with other saints for their daily banal stories or reclusive life styles, and most of them were entitled HwaWoeSoGeo(Floral landscape with a small carriage). Among the mostly common subjects were those titled EoChoMunDap(A fisherman in dialogue with a woodcutter) which realized imaginary scenes relevant to excerpts in his EoChoDaeMun(The title of one of Shao Yung’s books, meaning conversation between a fisherman and a woodcutter). Shao Yung was often described as a fisherman casting a fish rod at the shore of the Isu River, or a woodcutter resting, seated on a large flat rock after putting down his load. As this study illuminates icons incorporated in ShaoYungGoSaDo and their implications, it leads into an understanding of ShaoYung’s diversified aspects as a scholar of Neo-Confucianism and a hermitish wri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석당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