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어의 시제 형태소 체계와 그 기능 변이 (The System of Tense Morphemes and Their Function Changing in Korea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8.12
27P 미리보기
국어의 시제 형태소 체계와 그 기능 변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282호 / 97 ~ 123페이지
    · 저자명 : 홍종선

    초록

    현대국어에서 시제 형태소가 중첩될 때 후행하는 형태소는 서법이나 동작상으로 기능 변이를 한다. 이들 세 문법 범주가 서로 관련성을 갖는 속성이 있기도 하지만, 시제 형태소들이 형성 단계에서 서법이나 동작상과의 관계성 속에서 이루어진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 변이는 중세국어 등 다른 시기에서도 나타난다.
    현대국어에서 과거 시제 ‘-었-’은 완료상으로, 현재 시제 ‘-는-’은 확인법 ‘-느-’로, 미래 시제 ‘-겠-’은 추측법으로 기능을 바꾸는데, 이러한 기능 변이는, 공시적으로는 그가 원래 가진 시제에서의 기능과 관련을 갖는 기능으로 확대되는 것이며, 통시적으로는 그들이 가졌던 본래의 서법과 동작상적인 역사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 외에 회상법의 의미를 갖는 과거 시제 ‘-더-’와, 의도나 추측의 의미를 갖는 미래 시제 ‘-리-’가 있고, 원칙법의 ‘-니-’와 ‘-느니-’가 있다.
    중세국어에서 과거 시제를 담당하는 ‘-니-’는 다른 시제 형태소 뒤에선 원칙법으로 기능하였고, 과거 시제 ‘-더-’는 회상법을 나타내고, 미래 시제 ‘-리-’는 추측이나 의지의 서법 기능을 겸하였다. 국어의 시제가 서법으로부터 발달해 온 것으로 보는 견해에 따르면, 이들 사이에 완전한 분화가 아직 덜 이루어진 상태로 해석될 수 있다. 이처럼 아직 시제가 문법 범주로 뚜렷함이 덜하였던 중세국어에서는 부정법으로 과거의 일을 표현하는 방식이 주로 문헌어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정법 자체가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는 체계를 세우기에는 여러 가지 무리함이 있다.

    영어초록

    In Contemporary Korean, when tense morphemes are reiterated in their use, the later changes its function to express mood or aspect. This function changing could be attributed to the properties that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ense, mood and aspect are related to one another and furthermore that the formation of tense morphemes took place in correlation with mood or aspect. Thus, this kind of function changing is also found in Middle Korean as well as in other periods.
    In Contemporary Korean, the tense morphemes expressing past, present and future, i.e. ‘-eoss’, ‘-neun’ and ‘-gess’, change their functions to express perfective aspect, confirmative mood and presumptive mood respectively. These changes reflect the fact that the morphemes came to gain new function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origin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morphemes previously mentioned, the past tense morpheme ‘-deo’, the future tense ‘-ri’ and the morphemes ‘-neu’ and ‘-ni’ also underwent function changing to express retrospective mood, the mood of intention or presumption and principle mood.
    In Middle Korean, the past tense morpheme ‘-ni’ functions as the one expressing principle mood after another tense morpheme, and the past tense morpheme ‘-deo’ and the future tense ‘-ri’ have additional functions to express retrospective mood and the mood of intention and presumption. Based on the claim that the tense developed from the mood in Korea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fact reflects the historical stage in whic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morphemes were not completed. In Middle Korean in which the tense was not formulated as a complete grammatical category, past events were mainly expressed with the aorist mood(infinitive form) in written language. Thus, it is fairly implausible to argue that the aorist mood itself is to express past ten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