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쿠로프 감독의 <러시아방주>에서의 공간 (Space in The Russian Ark of Sokurov)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08.05
23P 미리보기
소쿠로프 감독의 &lt;러시아방주&gt;에서의 공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상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상예술연구 / 12호 / 161 ~ 183페이지
    · 저자명 : 정미숙

    초록

    <러시아 방주>에서 공간은 시간의 형상화로서의 공간의 영원성에 대한 것이다. 그
    공간은 문화 예술과 전통예술의 아우라가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예술의 영원성은 인
    간의 구원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영화의 공간인 박물관은 한 공간에 축적되어 있는
    시간들을 여행자의 기억에 따라 소생시킨다. 그리고 감독은 그것을 가장 현대적인 디
    지털 기술로 쇼트와 쇼트의 경계를 허물고 공간의 연속성으로 묘사하면서 현재와 미
    래로 연결한다.
    이 작품에서 감독이 근본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공간은 실존적 삶의 다양한 시간의
    겹이 쌓여 있는 무한한 공간이다. 이 공간 속에서 물리적, 기계적 힘에 의해 단절된
    공간이 아니라 다양한 삶과 죽음의 시간들이 축적되어 있는 지속적인 공간이다.
    그리고 물질적 공간으로서 박물관이라는 공간이 가지고 있는 근대적 시선의 권력
    에 대한 재현을 약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몽타주를 거부하고 카메라가 단일한 공간에
    서 연속성을 지향한다. 그것은‘프레임 내 몽타주’의 연장선상에서 공간의 시각적 요
    소에 의한 재구성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재현에 있어서 이미지만을 위한 내러티브의 약화, 이
    미지의 파편화, 콜라주 경향, 몽타주의 부재 또는 파괴, 그리고 시점의 파괴를 지향하
    는 현대적인 이미지와 달리 감독은 여전히 전통적인 것으로부터 자신의 예술 활동의
    존재 가치를 찾고 있다. 물론 내러티브를 약화시키고 있지만 그것은 이미지의 강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역사적인 어느 한 시점에서 사건에 대한 정보들만을 던져주기 위한
    것이다.
    결국 감독에게 있어서는 표현의 형식 보다는 주제를 향한 미학적 주제가 더 소중하
    게 작용한다. 그래서 기술은 감독이 원하는 의미를 생산하기 위한 하나의 도구로서만
    작용할 뿐이다. 즉 박물관이라는 공간은 감독에 의해 능숙하게 기계적으로 재구성되
    어 러시아 방주로, 러시아 방주는 다시 정신적이고 인간적인 구원과 영원성을 기계적
    인 프레임의 연속성으로 확장한다. 그래서 박물관의 어떠한 근대적 권력이나, 쇼트의
    분절을 통한 충돌이나, 조각의 연결을 의도적으로 제거하고 문화예술을 통한 영원한
    구원에 대한 의미를 강화한다.

    영어초록

    The Russian Ark is about the eternity of space which is the configuration of
    time. The space is where there is the aura of cultural and traditional art. In
    such a place, the eternity of art leads to the salvation of humans. Therefore, the
    museum, the space of the movie, revives old times accumulated in a space
    according to a traveller’s memories, and the director demolishes the boundary
    between shorts, describes it as a continuity of a space and connects it with the
    present and future, using most modernist digital technology.
    In this work, the space that the director recognizes ultimately is an infinite
    space where a variety of existential time layers are piled up. The space is not
    separated by physical or mechanical power, but is a continuing space where
    there are various times of life and death.
    In addition, as a physical space, the space of the museum weakens the
    reappearance of power from a modern viewpoint. It also rejects montage and
    pursues continuity in a place with a single camera. In line with ‘a montage in
    the frame,’ it leads to the reorganization of a space based on visual elements.
    Unlike modern images in the appearance of digital media technology that
    aim at the weakening of narrative, the fragmentation of images, the collage
    trend, the absence or demolition of montage and the demolition of viewpoint,
    the director seeks for the existence value of his art activities from traditional
    things. The weakening of narrative is not for strengthening the image, but for
    offering information about events at a specific historical moment of time.
    Ultimately, aesthetic subjects are more important than expression types to
    the director. Therefore, technology functions as a simple tool to produce a
    meaning that the director wants. That is, the space of the museum is skillfully,
    mechanically reorganized as the Russian Ark by the director, and the Russian
    Ark expands spiritual and humane salvation and eternity to the continuity of
    mechanical frames. Finally, modern authority, collision through the separation
    of shorts, and the connection of fragments are intentionally eliminated from
    the museum, and the meaning of eternal salvation is strengthened through
    cultural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상예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