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華西學派 門人의 蘇東坡 인식과 비판 (Hwaseo School's perception and criticism of Su Dongp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12
32P 미리보기
華西學派 門人의 蘇東坡 인식과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3권 / 1호 / 351 ~ 382페이지
    · 저자명 : 김근태

    초록

    본고는 19세기 조선의 지식인 사이에 불었던 蘇東坡에 대한 열풍과 화서학파 문인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19세기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있어 소동파는 뛰어난 문장가나 시인 이상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그들은 소동파의 시문을 뛰어넘어 그의 모든 것을 배우고 따르고자 하였던 것이다.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활약한 京華世族들에게 있어 소동파는 그들이 본받아야 할 이상적인 삶의 典範이 된 것이다. 이전의 지식인들이 朱子를 삶의 전범으로 삼았던 것에서 그 대상이 소동파로 바뀐 것이다.
    그런데 화서학파 문인들은 기존 성리학자들이 견지했던 의식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었다. 栗谷 – 尤庵 – 華西로 이어지는 그들의 學統이 소동파에 대한 인식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있는 것이다. 소동파가 정이와 정치적 갈등을 빚었던 역사적 사건을 근거로, 그들에게 있어 소동파는 天理를 어지럽히고 백성들을 혼란에 빠트린 문제아일 뿐이었다. 소동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正統을 바로잡아 華夷의 구별을 엄격하게 한다는 취지에서 편찬된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이라는 역사서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기존 역사서에서 서술된 소동파에 대한 기록을 수용하되 소동파에 대한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쪽으로 수정하기도 하였고, 소동파가 매우 큰 악행을 저질렀다고 하여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한 소동파의 죽음에 대해서는 별도의 기사로 독립하지 않고 주석으로 처리해 버린 것이다.
    화서학파 문인들이 이와 같이 소동파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과 배타적인 자세를 견지한 이유는 주자 등 송나라 도학자들이나 조선 중기 성리학자들의 생각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즉 소동파가 어느 특정한 사상에 구애받지 않아 儒佛道를 아우르는 폭넓은 사상을 지니고 있는데다가 타고난 문학적 능력을 토대로 자유자재로 문장을 구사하였던 바, 당대는 물론이고 사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소동파의 문장에 매료되었다. 이런 상황 하에서는 성리학자들이 주장하는 道學은 별다른 호응을 얻지 못하게 될 것이 분명하기에, 그들은 그런 상황이 초래할 것을 우려하여 소동파의 영향력을 차단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맞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raze for Su Dongpo among the literati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and the perception of him by Hwaseo School. For the literati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Su Dongpo was more than an excellent writer or poet. The literati tried to learn and follow everything about Su Dongpo beyond his poetry and prose. Especially, Gyenghwasejok(京華世族) who played an active part in Seoul regarded Su Dongpo as a paragon of ideal life. It can be said that their role model of life was changed from Zhuzi to Su Dongpo.
    However, the writers of Hwaseo School still adhered to the consciousness of the existing Neo-confucian scholars. Their scholastic mantle linked from Yulgok, through Wooam, to Hwaseo reflected the perception of Su Dongpo. The Hwaseo School thought that Su Dongpo was nothing but a troublemaker who disturbed the order of nature and threw the people into chaos,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 in which Su Dongpo had a political conflict with Cheng Yi. The negative perception of Su Dongpo was obviously displayed in a history book, Songwonhwadongsahabpyeongangmok(宋元華東史合編綱目), compiled to rectify orthodoxy and to make the sharp Sino-barbarian Dichotomy(華夷). Hwaseo School accepted the record of Su Dongpo described in the existing history, but modified it to emphasize negative side of him. Moreover, they just commented on Su Dongpo's death instead of writing a separate article about it, because he had committed a very great evil. The reason why Hwaseo School maintained the negative perception and exclusive attitude toward Su Dongpo is in line with the ideas of moral philosophy scholars of the Song Dynasty such as Zhuzi, and the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mid-Joseon period. In other words, Su Dongpo was not bound by any particular idea, so he had a wide range of thoughts includi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he freely made sentences based on his innate literary ability. For these reasons, there were many people who were fascinated by Su Dongpo's sentences during his lifetime and even after he di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was clear that the moral philosophy(道學) claimed by the Neo-confucian scholars would not get much response. Therefore they actively stood up to block the Su Dongpo's influence, fearing that such a situation would occu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