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간경도감 간행 지주의 『유가론소』 잔간 분석 (Analysis of the incomplete Books of Yujialun-shu by Zhizhou, published in Gangyeongdoga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2.07
32P 미리보기
간경도감 간행 지주의 『유가론소』 잔간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63호 / 183 ~ 214페이지
    · 저자명 : 박인석

    초록

    본고는 1462년 조선의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간행되어 1938년까지 송광사(松廣寺)에 보존되어 있던 지주(智周)의 『유가론소(瑜伽論疏)』 35~36권의 잔간(殘簡)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현재 이 문헌은 오직 조선의 간행본만이 남아 있다. 또한 그에 대한 연구 역시 거의 진행되지 않았으므로, 잔간 전체를 먼저 소개하고, 찬술 시기를 추정해본 뒤, 구체적인 내용을 분석하였다.
    먼저 지주(678-733)는 그의 스승인 혜소(慧沼, 648-714)가 세상을 떠난 714년 전후로 박양(樸陽) 보성사(報成寺)에 주석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유가론소』 역시 이 시기 이후에 작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유가론소(瑜伽論疏)』의 주석 방식은 둔륜의 『유가론기』와 마찬가지로 당대(唐代)에 나온 수많은 『유가론』 주석서들의 내용을 선별하여 제시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간 8세기 초에 나온 『유가론』 주석서로는 『유가론기』』만이 현존했는데, 『유가론소』 잔간의 분석을 통해 두 문헌의 주석 방식이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목(科目)에 있어서는 8세기에 나온 『유가론소』, 『유가론기』, 그리고 『유가사지론의연』이 서로 밀접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가론소』에 나온 홍복(弘福)과 이천(伊川)의 주석이 『유가론기』의 태사(泰師)와 경사(景師)의 주석과 일치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홍복과 이천의 누구인지를 추정해보았다. 홍복은 장안(長安) 홍복사(弘福寺)에 머물면서 『유가론』에 대한 주석서를 썼던 7세기 저명한 승려일 것이고, 이천은 7세기 초 낙양(洛陽)에 병합되었던 이천 지역의 사찰에 머물면서 『유가론』에 대한 주석서를 썼던 저명한 승려일 것으로 추정해보았다. 특히 이천의 사찰에 대해서는 현장과 관련된 정토사(淨土寺)를 집중 조명해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incomplete books of Yujialun-shu Book 35 and 36 which were written by Zhizhou (智周, 678-733) and were published in Gangyeongdogam (刊經都監) at 1462, during the Joseon (朝鮮) period, and was preserved at Songgwangsa (松廣寺) Temple until 1938. Only the Joseon period publication of these books remain at present. As there is a lack of study conducted on these books, this article will first introduce the incomplete books first, estimate the period when they were written and then analyze the details of the book.
    First, Zhizhou appeared to be residing at Baochengsi (報成寺) Temple at Puyang (濮陽) around 714, which was around the time his teacher, Huizhao (慧沼, 648-714) pas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spect thatYujialun-shu was written around this time. The annotations in Yujialun-shu were written by selecting phrases from main books of many commentary of Yogacarabhumi Sastra (瑜伽師地論) translated in 648, just like Yugaron-gi (瑜伽論記) by Dunryun (遁倫). Up until this point, Yugaron-gi was the only annotation book of Yogacarabhumi Sastra during the early 8th century, and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annotation method of the two books are similar through analyzing the incomplete books of Yujialun-shu. In classification system (科目), Yujialun-shu, Yugaron-gi, and Yujiashidilun-yiyan (瑜伽師地論義演), which were published in the 8th century, are closely relat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annotations of Hongfu (弘福) and Yichuan (伊川) in Yujialun-shu are consistent with the annotations of Taishi (泰師) and Jingshi (景師) in Yugaron-gi, the identities of Hongfu and Yichuan were assumed. It is assumed that Hongfu was a famous monk in the 7th century who stayed in Hongfusi (弘福寺) Temple at Changan (長安) and wrote an annotation book on Yogacarabhumi Sastra, and Yichuan was a famous monk who stayed at a temple in Yichuan area, which merged with Luoyang (洛陽) in early 7th century, and wrote an annotation book on Yogacarabhumi Sastra. In case of the temple in Yichuan, this article focused on Jingtusi (淨土寺) Temple related to the si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