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茶山 丁若鏞의 “屈騷” 수용 양상 (A Study on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in relation to Cho-sa(楚辭))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12
29P 미리보기
茶山 丁若鏞의 “屈騷” 수용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6호 / 387 ~ 415페이지
    · 저자명 : 정일남

    초록

    18년간의 유배경력은 다산의 “發憤著書”의 힘과 情緖를 유발했고 그의 학문을 성취시켰다. 이런 정서와 경력은 다산이 屈騷와 관계를 맺게 된 要因의 하나로도 사료된다. 본고는 다산과 屈騷의 관련양상을 屈騷에 대한 다산의 품평, 산문과 시의 초사 수용 순으로 다루었다. 굴원에 대한 贊에서 굴원의 출중한 재능과 인격을 일월에 비견했고, 진리에 대한 탐구정신과 혼탁한 세속과 타협하지 않는 결백 및 작품의 현묘함을 긍정했다. 「醉夢齋記」에서 굴원은 진실로 깊이 취해있는 사람이고 죽을 때까지 깨어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原怨」에서는 초왕에 대한 굴원의 원망을 사례로 공적인 “원망”은 충효, 충정을 나타낸다고 해석했다. 「通鑑節要評」에서 「이소」는 기이한 글이고 經書 등과 번갈아 보면 피로를 느끼지 않고 공부에 유리하다고 했다. 「爲尹惠冠贈言」에서 「離騷」등 굴원의 작품은 울적한 회포를 토로한 글이고 읊으면 근심을 해소해준다고 하였다. 이밖에 산문은 초사의 일부 용어를 수용한 흔적이 보인다. 시는 “靈均”, “楚大夫”, “三閭” 등 굴원의 字나 신분 내지 벼슬직함을 지칭하여 용사의 형식을 취한 경우가 있다. 「離騷」·「九歌」·「漁父」·「卜居」등 작품명을 들거나 이런 작품속의 용어, 인명을 시구에 차용 내지 변용한 경우도 보인다. 다산은 산문이나 시에서 “屈騷”의 부분적인 내용과 형식을 널리 수용하여 소재범위를 확대하고 다양한 이미지를 창조하는데 일조했다.

    영어초록

    The power of Da-san(茶山)’s energy and sentiment that pushed himself to writing books and made himself successfully in learning was due to his experience of banishment and homecoming life during 36 years altogher.The sentiment and experiece like above can be seen as one of the primary elements that made Da-san has relations with Cho-sa(楚辭). This paper deals with connective aspects between Da-san and Cho-sa by Da-san’s evalution on Cho-sa, followed by the acceptance of Cho-sa in Da-san’s proses and poetry. Da-san ranked Qu Yuan(屈原)’s talent and personality with the sun and the moon in his praise for Qu Yuan. He also said that public resentment shows loyalty and filial piety by referring the case of Qu Yuan’s resentment toward King of Chu(楚王) in <Won-won(原怨)>. In other works, he said that alternate reading between <Li Sao(離騷)> and Confucian classics(經書) not only can reduce the fatigue, but also can relieve pent-up feelings. Above this, Da-san’s proses show signs of his acceptance of several terms from Cho-sa. His poetry took the form of Yong-sa(用事) by designating Qu Yuan’s surname(字), status and official title. It also refered Qu Yuan’s works’ name like <Fisherman(漁父)> and accepted terms and persons’ names from these kinds of works in his verses. With this, Da-san became a help to expand poetry’s material ran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