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후기『화엄소초』의 한국 유전과 불교미술의 제작 양상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Huayanshuchao 華嚴疏鈔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07
38P 미리보기
조선 후기『화엄소초』의 한국 유전과 불교미술의 제작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102호 / 174 ~ 211페이지
    · 저자명 : 김자현

    초록

    18세기 조선에서는 1681년 우연한 기회로 전래된 가흥대장경을 계기로 화엄 교학의 중흥이 일어났다. 그 중 澄觀의 『화엄소초』와 普瑞의 『화엄현담회현기』와 같은 화엄 관련 불전의 전래는 조선 후기 불교 교학의 일대 전기가 되었고, 이 불전들이 복각되어 강원 교재로 사용되면서 화엄학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화엄을 우위에 두면서도 다른 교학과 禪을 포섭하고 유교, 도교와 같은 중국적 사유와 불교를 회통하고자 했던 징관의 제교융합적 화엄은 고려 후기부터 점차 선교겸수의 경향을 강화시켰고, 조선후기에 이르러 선, 교, 염불의 삼문체계의 정립과 간화선과 화엄이 양립하는 선교겸수의 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시기 화엄학의 성행은 신앙과 사찰의 장엄에도 영향을 미쳐 화엄 교학이 반영된 새로운 미술품들이 제작되었다. 이 시기에 그려진 <화엄경변상도>와 <연화장세계도>는 화엄경의 구조와 화엄의 연화장세계를 시각적으로 구현한 대표적인 화엄계 불화이다. 또한 화엄신중신앙의 반영으로 이전까지 단독이나 불화의 구성 요소로 표현되던 호법신들이 화면에 군집을 이룬 구성으로서 하나의 독립된 畵目으로 전각에 봉안되기 시작한 <신중도>, 과거 53불의 53이라는 숫자와 『화엄경』 「입법계품」에 등장하는 선지식의 法數를 매개로 화엄과 多佛신앙을 융합한 사례도 조선 후기에 나타난 독특한 양상이다.

    영어초록

    In the eighteenth-century, Joseon, a fortuitous introduction of the Jiaxing Dazangjing (嘉興大藏經, K. Gaheung Daejanggyeong) in the country led to the revival of the Hwaeom (Ch. Huayan) doctrine.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of Chinese Huayan sutras such as Chengguan 澄觀's Huayanshuchao (華嚴疏鈔, K. Hwaeom Socho) and Pureui's 普瑞 Huayanxiantanhuixuanji (華嚴懸談會玄記, K. Hwaeom Hyeondam Hoihyeongi) laid a significant foundation for Buddhist stud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sutras have been reproduced and used as textbooks, leading to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Hwaeom studies. Chengguan's Huayan theory that sought to embrace Chan (禪, K. Seon) and other Buddhist doctrines and harmonize Buddhism with Confucianism, Taoism, and other Chinese philosophies, promoted the simultaneous practice of both Seon 禪 and Gyo 敎 (Doctrinal Buddhism) in the late Goryeo dynas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his theory greatly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the Discipline of the Three Gates of Seon, Gyo, and Yeombul 念佛, as well as the simultaneous practice of Seon and Gyo, which sought the coexistence of Ganhwaseon 看話禪 and Hwaeom 華嚴.
    The flourishing of the Hwaeom doctrine in Joseon during this period had a profound impact on devotees’ faith and decoration of Buddhist temples. This led to the creation of new types of Buddhist artworks reflecting the Hwaeom doctrine, and representative examples from this period include the Illustrated painting of the Avatamsaka Sutra 華嚴經變相圖 and the World of Lotus Flowers 華藏世界圖, which are visual representations of the structure of the Avatamsaka Sutra and the World of Lotus Flowers. In addition, starting from the eighteenth century, as a reflection of the worship of Hwaeom deities, Sinjung-do 神衆圖, painting of a gathering of numerous Buddhist deities guarding the Buddhist Dharma, was enshrined as an independent subject of Buddhist art inside the hall of a Buddhist temple. This period also witnessed a unique combination of the Hwaeom doctrine and the belief in many Buddhas, promoted by the coincidence of the number 53 symbolizing the 53 Buddhas of the past and the number of Dharmas (53 teachings by 53 teachers) appearing in the chapter “Entry into the Realm of Truth 入法界品” of the Avatamsaka Sut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