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한일문학자의 전쟁소설 비교연구 -제3국에서 체험한 아시아태평양전쟁- (Comparative Study on War Novels of Korean and Japanese Post-War Writer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4.05
20P 미리보기
전후 한일문학자의 전쟁소설 비교연구 -제3국에서 체험한 아시아태평양전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89권 / 2호 / 281 ~ 300페이지
    · 저자명 : 장지영

    초록

    本研究の目的は、アジア太平洋戦争中、米国と日本の最大の激戦地であったフィリピンを背景にした戦後韓国と日本の戦争小説を比較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第3国で体験したアジア太平洋戦争の意味を再照明することである。具体的な硏究対象は、1940年代初、フィリピンでの戦争に参加した共通の体験を持っている大岡昇平と李丙求が1945~1960年に発表した戦争小説である。大岡昇平と李丙求において共通の戦争経験地で作品の背景になっているのは、祖国ではなく、第3国のフィリピンである。この点から、両作家のアジア太平洋戦争を比較分析するにあたって、戦争の直接的な主体ではないけれども、最も熾烈な戦場になった「フィリピン」という空間的な背景が持つ意味を見逃すことはできない。それで、本研究では、第3国で体験したアジア太平洋戦争であるという点に注目して、戦後韓日文学者の戦争小説を比較研究した。作品の中で、敗兵となった主人公によって南方の風景とそこの原住民たちがどのように描かれているかを考察してみた。大岡の場合自然描写に、李丙求は人物描写に、主人公の心理的な状況が投影される傾向がある。そのような心理的投影を通じて、主人公は、集団から脱して個人としての自分自身を自覚する。これは、戦争の主導者あるいは加担者である自国の矛盾および作品発表当時の現実-米占領期の日本と理念対立期の韓国-に対する認識に繋がっている。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war novels of Koreaand Japan written in the post-war years and set in the Philippines, the battlegroundof the most violent battles fough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nd therebyshed new light on the meaning of the Asia Pacific War as experienced in a thirdcountry. More specifically, it explores the war novels published during 1945-1960by Ooka Shohei and Byung-gu Lee, authors who have had the common experienceof fighting in the war in the Philippines in the early 1940's.
    The setting of the novels of these two authors, which is also the place wherethey both actually experienced war in their lives, is not their native state but rathera third country, the Philippines. This is why i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siaPacific war novels of these authors, the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is spatialsetting cannot be overlooked, with the Philippines having been the fiercest battlefieldwhile it was never ever directly involved in the war. Therefore, this study focuseson the fact that the novels address the Asia Pacific war as experienced in a thirdcountry in comparing the post-war works of a Korean writer and a Japanese writer.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 natural environment and native population of thePhilippines were depicted by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s who were survivingbut defeated soldiers.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protagonists tended to beprojected in the description of nature in Ooka's novel and in the characterizationof people in Lee's novel. Through such psychological projections, the protagonistsdetach themselves from the collective identity and perceive themselves as an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