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조선왕실의 “小中華”적 정체성 창출과 타자인식-그 ‘比較’의 서사를 중심으로- (Invention of Early Joseon’s Identity as a “Lesser Middle Kingdom(小中華)” and the Comparative Narrativization on “Others” in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4.11
41P 미리보기
『龍飛御天歌』에 나타난 조선왕실의 “小中華”적 정체성 창출과 타자인식-그 ‘比較’의 서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報 / 57호 / 155 ~ 195페이지
    · 저자명 : 정다함

    초록

    그간 龍飛御天歌에 대한 연구들은,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이라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龍飛御天歌를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과 직결시키는 민족주의적/일국사적 관점을 견지해 왔다. 그러나 龍飛御天歌는, 그 “고유성”을 증명하는 증거로 읽힐 수 있는 내용 못지않게, 사실 그 “고유성”이라는 것이 “中華”와 “女眞族”과 “倭” 등의 이질적 정체성들과 끊임없이 관계를 맺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그렇다면 민족주의적/일국사적 관점 때문에 해석되기 어려웠던 龍飛御天歌의 이러한 성격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결국 우리는 이 용비어천가가 지니고 있는 조선왕실의 “고유”한 정체성을 보여주는 부분과 그와는 다른 타자들의 “이질적”인 정체성을 보여주는 부분 모두를 함께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용비어천가의 찬자들이 어떤 시각과 목적에서 이러한 다양한 타자들을 용비어천가에 등장시켰는가라는 새로운 화두로 이 문제에 접근해야 한다. 이 연구는, 훈민정음으로 쓰인 부분 때문에 한국적 “고유성”을 상징하는 텍스트로 조명되어 온 龍飛御天歌를, 그 텍스트가 담고 있는 조선왕실과 다양한 타자들과의 관계성이라는 역사적 맥락에 초점을 맞춰 다시 읽어봄으로써, 이를 당대 조선 지배층의 세계관 내지 역사인식 내지 타자인식의 틀이 어떻게 창출되었는가를 표상하는 텍스트로서 새롭게 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기존의 민족주의적/일국사적 관점에 입각하여 진행된 연구지형의 담론지층들을 지식의 고고학을 통해 벗겨내고, 탈중심적/탈경계적/초지역적인 관점을 바탕으로 다시 살펴보았을 때, 용비어천가는, 그간의 민족주의적 관점이 본질화시켜왔던 그 한국적(조선적)인 고유한 정체성이라는 것이 오히려 14세기 말에서 15세기 초반 조선왕실이 동아시아의 여러 타자들과 조우하는 역사적 맥락 속에서 ‘발명된 전통’이었음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다시 해석될 수 있다. “中華”와 女眞族과 倭寇는, 조선왕실이 이렇게 자기 정체성을 상상할 때에 이를 구체적으로 가늠하기 위해서 비추어보는 거울과 같이 반드시 필요한 타자로서 기술된 존재들이었던 것이다.
    龍飛御天歌에서, 조선왕실의 정체성은, 中華의 역대 왕조들의 “보편” 문명과의 유사점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中華와의 최소한의 차이점은 남겨두는 ‘비교’의 방식을 통해, “중화”와 같아질 수는 없더라도 이에 버금가는 상한선의 좌표에 설정되는 것이었다. 동시에 조선왕실의 그 정체성은, 中華의 “보편” 문명의 대척점에 위치한 女眞族과 倭寇와 같은 존재들과의 차이점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이들과의 최소한의 공유지점(유교적 “보편” 가치)은 남겨두는 ‘비교’의 방식을 통해, 이들보다는 그 敎化의 정도에서 훨씬 앞서 있는 하한선의 좌표에 설정되는 것이었다. 결국 용비어천가에 담긴 조선왕실의 고유한 정체성이라는 것도, 그와는 다른 정체성들과의 역동적 관계성 안에서 존재하던 그 정체성을, 유교적/중화중심주의적인 비교와 위계질서의 서사를 통하여 재구성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은 조선이 문명의 중심으로 여기고 있던 중화중심주의를 전유함으로써 스스로를 문명과 반야만의 사이에 위치하는 이른바 “小中華”로 창출해내는 과정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Ever since modern scholarship of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history after 1945 in Korea,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龍飛御天歌) has always been interpreted within the narrow nationalist frame which only highlights that the text is to show “unique” origin of Korean identity, only because those small portions of the whole texts were written in Hunmin’chŏng’ūm(訓民正音) alphabet. However, in fact, Songs of Flying Dragons not only includes the texts about Joseon royal house’s unique Korean identity, but also shows elaborate descriptions and interpretations on identities such as “Middle Kingdom(中華)”, Jurchens, and “Wako” pirates that modern Korean scholarship can hardly define as “Korean” or “proto-Korean”. This study is to rethink those different identities of others that has been seen as alien and thus secondary in the text of Songs of Flying Dragons by korean nationalist scholarship, and to reinterpret them as the necessary “others” to which Joseon royal house mirrored itself to imagine its own identity and position as “Lesser middle Kingdom(小中華)” by compiling Songs of Flying Dragons, converging into the “universal” Confucian civilization of “Middle Kingdom” and differentiating from the savagery of “barbari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