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대 재미 한인의 다큐드라마 - 신한민보 게재, <셰계에 뎨일 큰 연극>과 <희문 열혈>을 중심으로 (Docudramas by Korean Immigrants in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08
34P 미리보기
일제시대 재미 한인의 다큐드라마 - 신한민보 게재, &lt;셰계에 뎨일 큰 연극&gt;과 &lt;희문 열혈&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59호 / 199 ~ 232페이지
    · 저자명 : 전영지

    초록

    본 논문은 20세기 전반기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발행된 한인 신문 『신한민보』에 게재되었던 두 편의 ‘다큐드라마’ 작품을 분석하여 일제시대 재미 한인들이 발전시켰던 민족주의 내러티브를 고찰하고자 한다. 논의의 대상이 되는 두 작품, 백일규 작 <셰계에 뎨일 큰 연극>(1915)과 홍언 작 <희문 열혈>(1923)은 각각 제1차 세계대전과 3․1 운동을 사실에 입각하여 다룬다. 그러나 이 두 희곡은 또한 국가와 세계의 관계에 있어 허구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두 희곡은 당시 조선인들에게 세계를 무대화할 능력이 있는 듯 과장하고, 세계의 무관심 속에서 실패로 돌아갔던 3․1 운동을 승리의 역사로 재구성한다. 이렇듯 두 작품이 그리는 민족의 미래는 재미 한인들이, 특히 제1차 세계대전 전후로 꿈꾸었던, ‘자비로운’ 미국의 ‘호의’ 속에서 근대화되어 세계와 호흡하고, 마침내는 독립을 이루는 모습이다.
    재미 한인 작가, 백일규와 홍언은 이렇듯 ‘다큐드라마’의 장르적 특성을 살려 재미 한인들이 현실에서 구현하고자 했던 허구적 내러티브를 진실처럼 직조한다.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국을 떠나 문명국과 동일시되던 미국에 거주하며 민족을 염려하던 재미 한인들은 자신들이 제국의 검열망 밖에서 자유롭게 제국주의 일본을 비판하고 민족주의적 감정을 표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구 지식에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을 근거로 자신들의 특권화된 위상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제국주의적이고 인종주의적 미국을 직접 체험하면서도 이상화된 근대성과 그것의 구체화로서의 미국이라는 허구를 버릴 수 없었다. 결국 재미 한인들은 ‘다큐드라마’라는 형식을 차용하여 자신들의 특권화된 위상이 근거하고 있던 허구에 대한 불신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as if’의 세계로서의 연극을 생산하며 자신들을 ‘민족의 후견인’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 논문은 결국 기존 한국 근대연극사에서 아직까지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던 일제시대 한인 디아스포라의 연극활동을 소개하며, 식민지 조선의 문화지형이 일제 대 조선의 이항대립 구도로 소급될 수 없다는 것을 밝히고, 연극이 민족주의 담론의 형성과 발전에 기여한 역할을 되묻는다. 이를 통해 민족주의 담론 또한 사실과 허구의 경계를 지우는 ‘다큐드라마’의 형식으로 쓰여진 하나의 내러티브일 뿐이라는 점을 시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wo docudramatic plays published in the California-based Korean newspaper, The New Korea (Sinhan Minpo): The Biggest Theatre in the World (Syekye-ësŏ Tyeil Kŭn Yŏnkŭk, 1915) by Paek Il-kyu, and Passionate Play (Hŭimun Yŏlhŏl, 1923) by Hong Ŏn. In analyzing these plays, I argue that Paek and Hong rendered fiction –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sought to realize in reality – as if truth, by taking advantage of the docudramatic theatrical form.
    Arguably, Paek and Hong’s plays explore the most crucial global and local issues impacting Koreans in the 1910s: World War I and the March First Movement, respectively. While these plays are fact-based, they also include fictional parts, particular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 and the world. Specifically, Paek’s play portrays Koreans as having had the ability of staging the world, and Hong’s play reconstructs the March First Movement (that failed with no support from the world) into a victorious historical account. The nation’s future that these plays portray is, after all, the future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wanted to pursue. That future consisted of Korea becoming a modernized, independent nation in ‘favor’ of the ‘generous’ civilization that the U.S. represented. Paek and Hong thus structured their plays in such a way as to facilitate the suspension of disbelief in the righteousness of American civilization, which Korean immigrants in the U.S. partially based their claim that they should serve as custodians of the nation. After all, I interpret the plays as having suggested an ‘as if’ version of existence that Korean immigrants in the U.S. created in order to further privilege their position, armed with their proximity to American modernity as well as distance from Japanese colonialism.
    This paper discusses theatrical activities by Koreans in the U.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readdressing such a largely overlooked history in contemporary scholarship, I challenge the prevalent nationalist historiography assessing the modernization of Korea as a consequence of the presumed exclusive interplay between Japan and Korea. In so doing, I also question the role theatre played in the formation of nationalistic discourses, which developed as nothing more than docudramatic narratives blurring the line between fact and fi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