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주강생성경직해>>와의 비교를 통해 본 『<<셩경직ᄒᆡ광익>>의 번역상의 특징 (Translational Features of Sŏnggyŏng Jikhae Gwangik through Comparison with TianzhuJiangsheng Shengjingzhiji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5.02
35P 미리보기
『&lt;&lt;천주강생성경직해&gt;&gt;와의 비교를 통해 본 『&lt;&lt;셩경직ᄒᆡ광익&gt;&gt;의 번역상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52호 / 265 ~ 299페이지
    · 저자명 : 박수진

    초록

    이 글은 한문본 『<<천주강생성경직해>>(1636)와 한글 필사본 『<<셩경직ᄒᆡ광익>>(1790)을 비교하여 번역상 특징을 논의해 본 것이다. 『<<성경직해>>는 처음 서양에서 수용된 성경이 동양의 한자로 번역된 문화적 특징을 드러냈고, 그 이후 한글로의 번역으로 이어진 『<<셩경직ᄒᆡ광익>>을 통해 문화번역이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성경직해>>가 『<<셩경직ᄒᆡ광익>>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구성 체계의 변화양상과 문장 및 단어의 변화양상으로 구분하였다.
    첫째는 구성 체계의 변화양상이다. 이러한 차이는 두 책의 목적이 달랐음을 나타낸다. 『성경직해』는 체계적으로 목록화하기 편한 상태로 편집되었고, 『셩경직ᄒᆡ광익』은 편찬 의도에 맞게 독자를 중심으로 한 ‘묵상서’의 기능으로 편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문장 및 단어의 변화양상이다. 이는 일반화, 구체화, 현지화로 살폈다. 일반화는 개별적인 것이나 특수한 것을 일반적인 용어로 번역한 것을 제시하였다. 구체화는 문장이나 단어의 해석에 대한 구체적 번역이 이루어졌거나 주석을 달아 의미를 강화한 것으로 나타냈다. 현지화는 그 나라의 문화적 현상을 나타낸 것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성경직해』와 『셩경직ᄒᆡ광익』의 차이를 만들었고, 이는 조선에서 만들어낸 조선의 문화가 녹아든 우리말 최초의 복음교리서로써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번역은 시대의 정신을 반영하고 시대의 문화를 드러낸다. 문서를 통해 복음 수용과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 것도 이러한 번역 과정에서 이루어진 문화적 양상에 큰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the Chinese text TianzhuJiangsheng Shengjingzhijie(1636) and the Korean manuscript Sŏnggyŏng Jikhae Gwangik(1790) and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translation. Shengjingzhiji reveale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Bible being translated into Eastern Chinese characters for the first time accepted in the West, and the second cultural translation took place through Sŏnggyŏng Jikhae Gwangik, which was later translated into Korean.
    In this article, the difference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Shengjingzhiji into Sŏnggyŏng Jikhae Gwangik were divided into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system and the changes in sentences and words.
    The first is the pattern of change in the composition system. These differences indicate that the purposes of the two books were different. Shengjingzhiji was edited to make it easy to catalog systematically, and Sŏnggyŏng Jikhae Gwangik was edited to function as a reader-centered ‘meditation book’ in line with the compilation intention.
    The second is the pattern of change in sentences and words. This was examined through Generalization, Concretization, and Localization. Generalization presents the translation of individual or specific things into general terms. Concretization indicates that a specific transl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a sentence or word has been made or the meaning has been strengthened by annotating it. Localization refers to expressing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ountry.
    This aspect created a difference between Sŏnggyŏng Jikhae Gwangik and Shengjingzhiji, which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the first gospel doctrine book in Korean that was created in Joseon and incorporated the culture of Joseon. Translation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reveals the culture of the times. It was found that the cultural aspects achieved during this translation process were of great significance in making it possible for the gospel to be accepted and spread through doc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