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공간구축 가능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폴딩 기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Spatial Construction of Voronoi diagram -Focusing on the Folding Technique of Digital Fabrication-)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2
12P 미리보기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공간구축 가능성에 관한 연구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폴딩 기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1호 / 281 ~ 292페이지
    · 저자명 : 임우창,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건축을 포함한 예술 및 디자인 분야에서는 타 분야의 이론과 기술 등의 융합으로 경계가 사라지고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 분야에서는 자연의 생성이론을 적용한 파라메트릭 디자인의 연구와 사례들이 등장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있다. 이 중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기하학 구조를 바탕으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구조와 조형의 미를 이룰 수 있는 이론이다. 하지만 패턴을 적용한 장식적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를 적용한 공간구축의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폴딩 기법을 적용한 구축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프로토타입의 파빌리온을 완성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문헌을 바탕으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에 대해 정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 방식인 그래스호퍼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구축할 기법으로 폴딩을 제시하고 이에 대해 고찰한다. 셋째,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프로세스에 따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특성이 반영된 파빌리온을 모델링한다. 다음으로 CNC Laser로 평면의 종이를 가공하고, 이를 폴딩 기법으로 유닛을 제작한 뒤 프로토타입의 파빌리온을 구현한다. (결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반복적 자가증식, 자기조직화, 알고리즘적 진화의 표현 특성이 나타나며, 이 과정에서 각각 연속성, 유기성, 유연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여 알고리즘을 작성한 결과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복잡한 형태에도 유닛을 변화시키며 빈틈없이 패턴을 형성한다. 폴딩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주름잡기, 접기, 구기기, 구부리기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유형 별 특징은 상이 하나 공통된 특성으로 연속성을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패브리케이션에서 폴딩은 재료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여 공간을 경량화하거나 다양한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의 프로세스에 적용한 결과, 파빌리온의 유닛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지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분할하고 있으며, 다각형의 유닛은 평면의 종이를 정교하게 가공하여 폴딩 기법으로 입체화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을 입체화하는 방법으로 폴딩 기법을 제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디지털 패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토타입의 파빌리온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실험하였다. 폴딩 기법으로 제작된 유닛들은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구조적 견고성을 높였으며 경량화의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험은 자연의 생성이론을 폴딩 기법을 적용하여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패브리케이션 폴딩 기법의 활용방법을 모색하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arts and design fields including architecture, the convergence with theories, technologies, etc. of other fields has broken bounds, and various attempts are being made. In the architectural area, studies and cases of parametric design applied with the generative theory of nature have emerged, creating a new paradigm. Among them, The Voronoi diagram is a theory allowing effective compositions of space and realization of stable structure and formative aesthetics based on a geometric constitution. However, it fails to go beyond the decorative role applied with patterns in the current state, and cases and studies on building spaces are lacking.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sibilities of building the Voronoi diagram applied with the folding technique of digital fabrication. To this end, the process of digital fabrication is applied to complete a pavilion prototype. (Method) The Voronoi diagram is defined based on literature, and Grasshopper, a visual programming language method enabling effective modeling for this, is examined. Second, folding is proposed as the technique to build the Voronoi diagram, and this is examined. Third, a pavilion reflecting features of the Voronoi diagram is model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digital fabrication. Next, a flat paper is processed with CNC lasers and produced into a unit with the folding technique, and then, the pavilion prototype is embodied. (Results) The Voronoi diagram showed expressive features of repetitive self-replication, self-organization, and algorithmic evolution, and continuity, organicness, and flexibility were respectively displayed in the process. As a result of writing an algorithm reflecting these features. Folding can be classified into creasing, folding, crumpling, and bending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commonly exhibited. Moreover, folding allows effective utilization of material in digital fabrication and has the features of lightweighting spaces. Applying folding to the process of digital fabrication based on this organically linked pavilion units and effectively divided designated spaces, and polygonal units could be dimensionalized by processing a flat paper exquisitely and using the folding techniqu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ding technique as a way to dimensionalize the Voronoi diagram, and furthermore, experimented with a series of processes of creating a pavilion prototype through digital fabrication. Units produced with the folding technique were connected organically and heightened structural solidity, and the possibility of lightweighting could also be confirmed. This experiment has significance in examining whether it is feasible to build a generative theory of nature by applying the folding technique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material in seeking utilization methods of digital fabrication folding techniqu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