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주얼텍스트의 트랜스미디에이션을 통한 이미지의 사유— 영화 <행자>와 <혼돈 이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Images through Transmediation of Visualtexts ― Focused on Walker and APRES LE DELUG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2
28P 미리보기
비주얼텍스트의 트랜스미디에이션을 통한 이미지의 사유— 영화 &lt;행자&gt;와 &lt;혼돈 이후&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문화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문화연구 / 35호 / 41 ~ 68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디지털미디어는 그 본질적 속성이 교차, 혼재, 융합 등의 형태로 트랜스(trans)되는 특성을 지닌다. 최근 영화에서도 타 장르가 트랜스미디에이션(transmediation)되어, 새로운 양식의 시각 이미지를 재현해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지 범람 시대에 영화의 트랜스미디에이션(transmediation) 양상을 진단하기 위하여, 이미지를 보다 깊게 고찰함으로써 이들의 올바른 향유로 나아가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타 예술 장르가 트랜스미디에이션된 영화 <행자(行者; Waker, 2012)>와 <혼돈 이후(洪荒之後; APRES LE DELUGE, 2008)>이다. <행자>는 대만의 대표적 영화감독인 차이밍량(蔡明亮; Tsai Ming-liang)의 작품이며, <혼돈 이후>는 중국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망명한 가오싱지안(高行健; Gao Xing-jian)의 영화로, 타 예술 장르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창작방식을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다음의 두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 하겠다. 첫째로 영화에 나타나는 타 예술 장르는 무엇이며, 어떠한 방식으로 매개되고 있는가? 둘째로 이러한 현상을 통해 무엇을 사유하고자 하는가? 양자를 연계하는 해답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고는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대표적 영화 개념인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를 활용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먼저 <행자>의 느린 걸음과 그를 추적하는 카메라의 이동에 의한 운동-이미지, 즉 쇼트는 스크린을 벗어나려는 퍼포먼스적 영화라는 새로운 양식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더해 우리를 존재론적 사유로 인도하여 홀로 끊임없이 걷는 주인공이 바로 나임을 인식케 하였다. 반면 <혼돈 이후>는 더욱 추상적인 방식으로 우리에게 사유의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다시 말해 원형적 회화 이미지와 무용 동작의 각 쇼트가 만들어낸 추상 이미지의 연속인 <혼돈 이후>의 몽타주는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에이션의 양상은 두 영화가 오히려 미니멀리즘으로의 역설전 전환을 보여주는 요소로 관여함도 함께 살펴보았다. 미니멀리즘의 특성과 연관된 본질적 요소, 이를 향한 사유를 주장하는 들뢰즈의 논의와 더불어, 두 영화의 감독인 차이밍량과 가오싱지안의 예술세계 또한 그러한 본질을 향한 예술창작의 욕망이라 할 수 있겠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two films Waker(2012) and APRES LE DELUGE(2008) which show transmediation in filmmaking. The former is made by Tsai Ming-liang wh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lm directors in Taiwan. The latter is done by Gao Xing-jian who was born in China and moved to France. Both of films are transmediated by fine arts such as performance, painting, and dancing. To examine the visual images of two films deeply, Gilles Deleuze’s cinema theory is taken use of for an analytic tool. Movement-images and time-images are the representative words, which succeeded to Henri Bergson’s ontology including theory of images Firstly, a lot of shots of Waker are captured by movements of main actor and cameras. These shots are related to Deleuze’s movement-image as well as time-image. According to Bergson, movement-images is in the process of changing bound for the whole or the duration. The transmediation of performance to this movie makes audiences feel that this movie is out of genre and get forward to think about the existence of ourselves in the universe under the philosophical thought.
    Secondly, Gao Xing-jian made APRES LE DELUGE as poetic cinema mentioned by Pier Paolo Pazloini. In this movie, three components of frame, shot, montage are combined into symbolic images. Appling Deleuze’s theory to analyse them, the montage(time-images) of this film is formed by the confluence of paintings and dancings functioning as movement-images(shot). In other words, two fine arts are transmediated to this film and this phenomenon causes this movie’s poetic, symbolic, experimental, and abstract characteristics.
    I assume that two film directors would like to make a new style of filmmaking using various genres of fine arts, and share their ideas of human beings in the world or universe. Through this study, the concept of images can be discussed by multiple views based on a few scholars’ philosophical argu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