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표현특성 연구 -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canny Concept - Focusing on Spatial Installation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4
12P 미리보기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표현특성 연구 -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3호 / 259 ~ 270페이지
    · 저자명 : 김관현, 김지은, 김개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의 기준에서 벗어나 공포, 불안의 감정까지 미학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프로이트의 언캐니 개념으로부터 출발한다. 고정된 규범을 거부하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현대의 미적 패러다임 속에 현대예술은 기존 이해와 상식을 벗어나는 다양한 작품들을 쏟아내고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 언캐니 개념은 현대예술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되며 미학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언캐니 개념이 시각예술의 주요한 범주로 자리 잡았음에도 불구하고 공간 디자인의 영역에서만큼은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보여졌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 작품의 연장으로 조각, 공간, 건축의 접점에 위치한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언캐니의 특성이 공간 속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규명하고자 했으며,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적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첫째,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언캐니를 연구한 프로이트의 논문을 바탕으로 언캐니를 촉발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결과를 범주화한다. 둘째, 언캐니를 촉발하는 원인으로 도출된‘모태 회귀와 거세 응시’,‘비/생명성과 무기체로의 퇴행’,‘비의도적 회귀와 외상의 반복’을 분석의 틀로 삼아 현대예술작품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추출된 조형적 특징을 세분화하여 조형언어를 구축하였다. 셋째, 조형언어를 바탕으로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하여 언캐니의 특성이 공간의 영역에서 어떻게 현현되는지 살펴보며, 그 결론을 토대로 향후 기대효과를 제안하였다. (결과) 3가지 조형적 특성에 기초한 6가지의 표현유형을 통해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한 결과 언캐니의 조형적 특징이 풍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존 개념을 전복시키는 도발적인 조형적 특징은 시지각적 충격을 유발하며 불안, 혼란, 양가적 감정과 같은 언캐니의 효과를 촉발한다는 점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언캐니의 특성이 나타나는 인스톨레이션 공간을 분석함으로써 언캐니 개념의 공간적 적용 가능성과 그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성적 논리로 만들어진 고정된 의미체계에 얽매이지 않고 무한한 잠재성을 갖는 언캐니의 조형적 특이성은 앞으로 공간 디자인의 영역에서 다양하고 새로운 미적 체험과 공간적 경험을 선도하는 중심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igmund Freud assert in his thesis "Das Unheimlich" that even eccentricity, fear, and anxiety, the opposite aspect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which deviates from the sublime, joy and impression, should be studied in the realm of beauty. In the contemporary aesthetic paradigm of rejecting fixed norms and pursuing diversity, contemporary art is pouring out various works that go beyond existing understanding and common sense. In this trend, the conception of uncanny is presented as a new perspective on contemporary art and is actively studied in the area of aesthetics. However, the 'uncanny' conception has become to have established itself as a major category of visual art, but it is worth the research in that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in the field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look at the spatial installation located at the interface of sculpture, space, and architecture as an extension of the art works and see possibility that how to characteristics of uncanny can be implemented in space. (Method) First, based on Freud's thesis, which studied the ‘uncanny’ based on psychoanalysis, we analyze the causes that trigger the ‘uncanny’ and categorize the results. Second, the framework for interpreting contemporary art works is analyzed using 'desire to return to womb', 'Regard of castration’, 'anti/life', 'regressive to an inorganic' and 'repetition compulsion of signifier', which is characteristic of uncanny. Based on that analysis, construct to formative elements through the sculptural characteristics of art works. Third, analyze the spatial Installation based on the formative elements derived from the analysis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are represented in the spatial domain, and propose a expected effect based on the conclus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spatial installation through the six types of expression derived on the three types of formative elements showed that the uncanny's formative features were abundant, and the provocative features that reverse and break the stereotype caused visual shock and triggered the uncanny's effects such as ambivalence feeling, anxiety and confusion. (Conclusions) This work was able to verify the spatial applicability and its validity of the uncanny conception by analyzing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canny appear. Uncanny's formative singularity, which has infinite potential without being bound by a fixed semantic system made of rational logic, is expected to become the center of leading diverse and new aesthetic and spatial experiences in the area of spatial desig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