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습 동기와 사용자 경험 제고를 위한 영어학습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사례 분석 -게이미피케이션과 시각컨텐츠 디자인을 중심으로- (A Case Analysis of English Learning Application Design for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User Experience -Focused on Gamification and Visual Content Design-)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09
11P 미리보기
학습 동기와 사용자 경험 제고를 위한 영어학습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사례 분석 -게이미피케이션과 시각컨텐츠 디자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30권 / 3호 / 441 ~ 451페이지
    · 저자명 : 정소영

    초록

    본 연구는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분석을위해 이론적 배경으로 학습만족도와 언어학습 디자인요소를 고찰하고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경험과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시각 콘텐츠 디자인와 게이미피케이션 디자인에 대해분석하였다. 시각 콘텐츠 디자인으로는 캐릭터, 영상, 인포그래픽을 도출하였고,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게이미피케이션 디자인 기법으로 도전, 경쟁, 성취, 보상, 관계로 분류하였다. 분석 대상은 만족도와 다운로드상위에 있는 4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최종 선정하였고선정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디자인 유형의 활용 정도를파악하기 위해 그 기준을 학습에 대한 동기화와 사용자 경험 요소로 세웠다. 분석결과 ‘케이크’는 영상 콘텐츠에서 강세를 보였고, ‘듀오링고’는 유일하게 에이전트 캐릭터를 활용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인포그래픽에서도 강한 특성을 보였다. ‘말해보카’는 인포그래픽의 활용에 강한 특징을 보였다. ‘플랭’은 영상을 통한학습에 단계적인 인터랙티브 환경을 제시하여 영상학습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선사하였다. 게이미피케이션 디자인은 ‘듀오링고’가 모든 요소를 만족시키고 있었고 ‘말해보카’도 관계를 제외하고 모든 요소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케이크’와 ‘플랭’은미션, 챌린지를 통한 도전에 대한 경험은 강하게 제공하고 있으나 나머지 부분은 사용자 경험을 충분히 가지기 어려워 학습 동기화를 꾸준히 이루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사형 그래프 분석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교육앱 랭킹 1, 2위인 ‘듀오링고’와 ‘말해보카’가 게이미피케이션 디자인과 그래픽 콘텐츠 활용에서 모두 높은 활용도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랭킹이 가장 낮은 ‘플랭’은 모든 요소의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게이미피케이션 디자인과 그래픽 디자인 요소의 활용은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동기와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높여 사용 만족도가 올라감으로써 영어 학습 앱 구매에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어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동기와 사용자 경험 향상에 기여할 수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o analyze the design of English learning applic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earning satisfaction and language learning design elements. It focuses on visual content and gamification design to enhance user experience and learning motivation. Visual content design includes characters, videos, and infographics, while gamification design techniques are classified into challenge, competition, achievement, reward, and relationship based on previous research. Four top-rated applications by satisfaction and download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use of design types were set as motivation for learning and user experience elemen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Cake’ excelled in video content, ‘Duolingo’ uniquely utilized agent characters and had strong infographic features, ‘Malhaevoka’ had a strong focus on infographics, and ‘Flank’ offered a new user experience with a step-by-step interactive environment for video learning. ‘Duolingo’ met all gamification design elements, while ‘Malhavoka’ met all except for the relationship element. ‘Cake’ and ‘Plang’ provided strong experiences through missions and challenges but lacked in other areas, potentially hindering consistent learning motivati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adial graph data revealed that the top-ranked educational apps, ‘Duolingo’ and ‘Malhaevoca’, demonstrated a high level of utilization in both gamification design and graphic content. On the other hand, the lowest-ranked app, ‘Plang’, showed low utilization across all element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gamification design and graphic design elements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increasing user engagement,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providing diverse user experiences, which, in turn, positively impacts user satisfaction and the purchasing decisions for English learning app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nhancing learning motivation and user experience through English learning ap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