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약물 부작용, 오남용 방지를 위한 의약품 정보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분석 및 제언 -‘약학정보원’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Analysis and Suggestion for the Pharmaceutical Information Application for Prevention of Adverse Drug Reaction and Drug Abuse -Focused on the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0.09
12P 미리보기
약물 부작용, 오남용 방지를 위한 의약품 정보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분석 및 제언 -‘약학정보원’ 어플리케이션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3호 / 319 ~ 330페이지
    · 저자명 : 이원회, 송지성

    초록

    ‘안전상비의약품’의 판매 이후 약물 복용에 대한 통제의 어려움과 약물 부작용, 오남용의 문제가 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의약품의 효율적인 구매와 안전한 복약,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한 ‘약학정보원’의 UI/UX 어플리케이션 디자인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범위는IOS, 안드로이드 환경의 5가지 국내 의약품 어플리케이션을 선정, 디자인과 사용자경험, 목표 약품에 대한검색 및 검색결과에 대한 UI/UX 항목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실증 사례분석과 제이콥 닐슨(Jakob Nielsen) 의 ‘사용성 평가’, 사용자동향 평가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중 의약품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기능인 의약품검색- 결과에 대한 반응 효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약품 어플리케이션은 가시성, 직관성, 정확성, 일관성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수 있었고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이 소비자의 복용 약이력을 관리하는 회원체계가 부족했으며, 주 기능인의약품검색에서 약품명을 모르는 사용자를 위한 이미지검색 기능 디자인이 부족했다. 또한 대부분이 푸른색–무채색의 컬러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약학정보원’에서의 미흡한 점은 아이콘의 디자인적 결함, 내비게이션 바의 미흡(가시성 부족), 에러 창의 부재, 주 사용메뉴 등록기능 부재(효율성 부족), Main Page 의 불필요한 요소 사용(심미성 부족), 페이지 전환 버튼의 미흡, 사용 가이드의 부재가 있다. 이로 인한 디자인 방향 제언은 첫째, 이해성이 높고 통일감 있는시각적 아이콘의 리디자인이 필요하다. 둘째, 약제검색페이지에서의 다양하고 통일된 검색기능을 이용하여사용자의 편의를 도와야 한다. 추가로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을 이용한 ‘사진검색’ 기능을 추가하기를 제언한다. 셋째, 약제설명 페이지에서 정보 제공과 동시에 페이지 레이아웃에 집중하여 가독성을 높여야 한다. 넷째, 복약지도에 있어, 가독성을 위한 ‘인포그래픽’ 사용을 제안한다. 다섯째, 사용자의 복약 이력 관리가가능한 회원체계로 변경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한 의약품 복용 생활에 도움을 주는 것에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Pharmaceuticals are an important medium for maintaining the health and wellbeing for mankind.
    However, inappropriate administration and knowledge may result in risk of adverse reaction. As there are now ‘Safety Emergency Drugs’ sold outside the pharmacy for convenience of the consumers,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drug administration, which is leading to more issues of adverse drug reaction and drug ab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UI and UX design method to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for efficient purchase of the drugs, safe administration and accurate delivery of information by using the application with good accessibility for the consumer to reduce the adverse drug reaction and drug abuse. For the scope of this study, 5 Korean pharmaceutical applications in IOS and Android environment were selected, and the design, user experience, search on target drug, and UI and UX items on the search results are included.
    Empirical case analysis, ‘Usability Evaluation’ by Jakob Nielsen and trend evaluation method were used as the study method. Among these methods, the reaction effect on drug search-result which is the main function of the pharmaceutical applicatio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of pharmaceutical application were visibility, accuracy and consistency, and most of the applications lacked the membership system of managing the history of drugs administered by the consumers. In addition, the main function of drug search lacked the design on the image search function for users that do not know the drug name. Moreover, most of the applications were using blue-achromatic color. Insufficient matters in the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included design fault on the icon, absence of navigation bar (poor visibility), error window and frequent menu registration function (poor efficiency), use of unnecessary elements on the main page (poor aesthetic impression), poor page conversion button and absence of use guide. Regarding the suggestion on the design direction, first, the re-design of an icon that is visible, highly understandable and with unity is required. Second, various search functions shall be used on the drug search page to support the convenience of the users.
    Additionally, the use of AI deep learning technology to add the ‘Image Search’ function is suggested. Third, the drug description page shall provide not only the information on the drug, but also be focused on the page layout to enhance the legibility. Fourth, the use of ‘Infographic’ is suggested for legibility on the medication counseling. Fifth, the application shall be changed to the membership system to enable mediation history management of the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help the safe administration of drugs by the us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