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성형 AI 음악 식별을 위한 데이터 셋 구축 및 검증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Datasets for Detecting AI-Generated Music)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5.02
11P 미리보기
생성형 AI 음악 식별을 위한 데이터 셋 구축 및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 11권 / 2호 / 1 ~ 11페이지
    · 저자명 : 조정일, 박재완

    초록

    급속도로 발전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음악 산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생성형 AI를 활용한 음악 창작 기술의 발전은 생성형 AI를 통해 만들어진 음악과 인간이 작곡한 음악의 구별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딥페이크, 딥보이스 등의 시각 및 청각 콘텐츠의 위변조를 탐지하는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AI 생성 음악의 식별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AI로 생성된 음악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음악과 인간 작곡가에 의해 만들어진 음악 파일을 수집하고, 음향적 특성을 추출하여 수치 데이터로 저장하였다. 분석 결과 신호의 평균 에너지와 영교차율을 중심으로 일부 특성 값에 대한 상관관계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발견되어 수집한 데이터 셋의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데이터 셋은 생성형 AI로 만들어진 음악과 인간이 작곡한 음악의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AI 생성 음악을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고도화된 딥러닝 모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s driving transformative changes across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music industry. The evolution of music creation technology utilizing generative AI introduces a profound challenge to traditional definitions and understandings of human creativity,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research to distinguish AI-generated music from human-composed works. While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detecting manipulated visual and auditory content, such as deepfakes and synthesized voices, research focused on identifying AI-generated music remains comparatively underdeveloped.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constructing a dataset identifying AI-generated music. A comprehensive collection of music files generated by AI and human composers was assembled to achieve this, from which acoustic features were systematically extracted and recorded as numerical data. Analytical results revealed discerni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articularly in correlations of characteristic values such as signal average energy (Root Mean Square, RMS) and zero-crossing rate (ZCR), demonstrating the utility of the compiled dataset. The dataset established through this research i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coustic features of AI-generated and human-composed music. Moreover, it is anticipa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developing advanced deep-learning models that accurately identify AI-generated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