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주택 지하 주차 공간의 셉테드 관점에서의 색채 모형 감성 평가 (Emotional Evaluation of Color Models in Underground Parking Spaces of Apartment Houses from a CPTED Perspective)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08
10P 미리보기
공동주택 지하 주차 공간의 셉테드 관점에서의 색채 모형 감성 평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5호 / 445 ~ 454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이진숙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공동주택의 지하 주차장은 주차 모듈이 반복되는 공간으로 방향감을 잃기 쉽고, 주동 출입구를 찾기에 어려움이 있어, 심리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끼기 어려운 공간이다. 그로 인해 지하 주차장에서는 특히 강력ㆍ절도ㆍ폭력 범죄의 비율이 높고, 범죄의 장소로 이용되기도 한다. 범죄예방 건축기준 고시에 따라 공동주택에는 범죄예방환경설계가 의무화 되어, CCTVㆍ조명ㆍ비상벨 등 설비와 함께 색채 계획이 반영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색채가이드라인이 없어 심미적 디자인 위주의 색채 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 주차 공간의 색채 모형을 작성하고, 감성 평가를 통해 디자인 측면의 심미성과 함께 셉테드 관점에서의 심리적 안전감과 인식성에 대한 색채의 심리적 영향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감성 평가 어휘는 도시경관컨셉이미지, 이미지 스케일, 우리말 형용사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선정하였고, NCS 색상환에서 등간격의 8가지 색상을 선정하고, 색상별 4가지 뉘앙스의 색을 선정, 총 32개의 색시편을 선정하였다. 색채 모형은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동 출입구 부분으로 설정하여, 스케치업으로 모델링하고 브이레이로 렌더링하여 작성하였다. 평가 대상 색채를 제외한 변인은 고정하여 색채 모형을 작성하고, 색채 인지에 지각이 있다고 판단되는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을 통해 7단계 리커트 척도로 평가하여, SPSS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심미적 이미지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축으로 구분되었으며, 제 1요인은 화려한ㆍ역동적인, 제 2요인은 중후한ㆍ고급스러운, 제 3요인은 깨끗한ㆍ귀여운, 제 4요인은 시원한ㆍ첨단적인 이미지로 확인되었다. 심리적 안전감 평가에서는 고명도ㆍ저채도의 페일톤 색을 가장 편안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식성 평가에서는 고명도ㆍ고채도의 브라이트톤 색이 가장 명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분석 결과는 지하 주차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색채의 분류를 나타내며, 심미적이면서 안전함을 추구하는 지하 주차 공간의 색채 계획이 가능함을 증명한다. (결론) 본 연구는 NCS 색체계의 색채 모형 단색 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지하 주차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색채의 범위를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배색 모형 평가 및 범죄예방환경설계를 고려한 지하 주차장 색채가이드라인 연구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a apartment houses is a space where parking modules are repeated, making it easy to lose a sense of direction and difficult to find the main entrance, resulting in a lack of psychological security. As a result, the underground parking lot is particularly prone to high rates of strong-arm robberies, thefts, and violent crimes, and is sometimes utilized as a location for crimi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rime Prevention Architectural Standards, apartment houses are required to implement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which includes facilities such as CCTV, lighting, emergency bells, along with incorporating color schemes. However,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for color, leading to color plans being focused primarily on aesthetic design. In this study, a color model for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 was created, and through emotional evaluations,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olors was assessed not only in terms of design aesthetics but also in terms of psychological security and perceptibility from a septed perspective. (Method) The vocabulary for emotional evaluation was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urban landscape concept images, image scales, Korean adjectives, and previous studies. From the NCS color chart, 8 equidistant colors were chosen, and for each color, 4 nuances were selected, resulting in a total of 32 color variations. The color models were set up at the main entrance of the underground parking spaces in apartment houses, and were modeled using SketchUp and rendered with V-Ray. The variables other than the colors being evaluated were kept constan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lor models. Expert groups, deemed to have perception in color cognition, were surveyed using a 7-point Likert scale through Google online surveys to evaluate the color model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Results) The factor analysis of aesthetic images resulted in four distinct factors. These factors were identified in the following order: vibrant and dynamic, solemn and luxurious, clean and cute, and cool and sophisticated images. In the evaluation of psychological safety, participants felt the most comfortable with pale-toned colors with high luminance and low chroma. As for the perceptibility evaluation, bright-toned colors with high luminance and chroma were found to be the most distinct. These results demonstrate a categorization of available colors in underground parking spaces and prove the feasibility of color planning that pursues both aesthetics and safety in these areas. (Conclusions) This study conducted a single-color evaluation of color models based on the NCS color system, aiming to analyze the range of available colors in underground parking spac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its potential utilization in future studies, such as color scheme evalu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color guidelines for underground parking spaces considering CP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