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재일조선인 동시童詩와 디아스포라적 장소성 - 최영진ㆍ리방세ㆍ고봉전 시의 ‘숨바꼭질’ 놀이를 중심으로 (Diaspora’s Placeness Appeared in Jochongnyeon Munyedong Children’s Poem ―Focused on ‘Hide-and-seek’ of Choi, Young-Jin, Lee, Bang-Se and Ko, Bong-Jeon’s poem)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5.12
26P 미리보기
재일조선인 동시童詩와 디아스포라적 장소성 - 최영진ㆍ리방세ㆍ고봉전 시의 ‘숨바꼭질’ 놀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29호 / 245 ~ 270페이지
    · 저자명 : 최종환

    초록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 연구 중 아동문학 영역은 다뤄진 바 거의 없다. 그중 동시 장르에 대한 결과물은 전무하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재일조선인의 동시가 그리는 조국은 법적 지위가 불안했던 재일동포들의 숨바꼭질 자리에서 나타나기도 했다. 이 놀이 행위는 조국에 대한 그들의 디아스포라적 관점을 반영한다는 데 요체가 놓인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동시童詩가 드러내는 이 ‘숨바꼭질’ 모티프와 조국 찾기 욕망 간의 상동성을 밝힘으로써 총련 재일본조선문학예술가동맹(이하: 문예동) 문학 연구가 남겨놓은 한 영역을 마저 읽고자 한다. 문예동 동시가 보여주는 숨바꼭질 놀이는 주로 ‘그림자놀이’, ‘그림찾기놀이’, ‘술래잡기놀이’ 속에서 나타나기도 하는데, 최영진, 리방세, 고봉전의 시는 이 맥락을 무엇보다 잘 보여준다. 그들에게 조국은 사라지며 나타나고, 밀리며 당겨지고, 멀어지면서 다가오는 어떤 운동성의 이름이다. 그리고 이 숨바꼭질들이 소중한 것을 ‘찾기’ 위해 먼저 그것을 ‘숨기는’ 행위와 연계되고 있다. 이는 ‘조국’과 만나기 위한 그들 열망을 무의식 지반에서 발견하려는 노력과도 다르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이 맥락이 프로이트S. Freud의 포르트-다fort-Da 욕망과 연계돼 있음을 발견하였다. ‘어머니-조국’을 찾아가는 어린 디아스포라 화자들의 욕망은 이 순간만큼은 부권화된 조국을 앙망해온 여타 문예동 구성원의 무의식을 예민하게 우회하고 있다. 그런데 문예동 동시 또한 총련 문예의 가독성을 부양하기 위해 생산돼온 것이라는 자명한 사실을 재감안한다면, 어린 화자의 무의식으로 떠오르는 조국 영상은 문예동 시의 창작 무의식으로부터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는 것만도 아니다. 조국을 둘러싼 이 숨바꼭질의 운동성이 디아스포라적 장소성으로 발현하는 이 맥락은 CSI 고려인문학, 조선족문학, 미주한인문학 등에 나타난 네이션 문제까지 새로이 읽어내는 눈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As for literature research of zainichi Chongryeon Korean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children’s literature. It is safe to say that there is no achievement on the children’s verse. The mother land depicted by children’s verse of zainichi Koreans was shown from a place of hide-and-seek of Korean-Japanese having an unstable legal status. The key point of such a play act lies in reflection of their Diaspora perspective on their homeland. This study aims at reading an area left by Chongryeon Munyedong(The Federation of Joseon Writers & Artists in Japan) literature research by examining the homogeny between ‘hide-and-seek’ motif and desire for homeland restoration shown from their children’s verse. Hide-and-seek which Munyedong children’s verse reveals is mainly shown from ‘shadow play’, ‘picture-finding play’ and ‘tag play’, and verses by Choi, Young-Jin, Lee, Bang-Sae, and Ko, Bong-Jeon show such a context properly. For them, their homeland is the name of mobility that disappears and appears, pushed and pulled, withdraws and approaches. This research identified that such hide-and-seek for three poets is connected to an act, for ‘seeking’ something valuable, to hide it beforehand. It is similar to an effort to find out a place of Diaspora for meeting with their ‘homeland’ from an unconscious ground. This research found out their desire like above is connected to that of fort-Da by Freud. Desire of young Diaspora narrators to discover ‘Mother-Land’, at this moment, bypasses sharply that of other Munyedong members who have aspired to the patriarchal nation. However, considering Munyedong children’s verse has been produced for supporting legibility of Chongryeon literature, an image of the homeland above rising from the unconsciousness of a young narrator is not distant so much from the creative unconsciousness of Munyedong children’s verse. It is expected that this place where mobility of hide-and-seek surrounding the homeland is revealed into Diaspora placeness will open a point of view for reading newly a ‘nation’ issue shown from the literature of CIS Koreans, Cháoxiǎnzú and American-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아동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