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심 속 생태체제의 길 찾기 - 마을생태의 복원과 세시풍속의 연관을 중심으로 (Finding the Path of Ecological System in the Urban -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Restoration of the Village Ecology and the Annual Customs)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09
37P 미리보기
도심 속 생태체제의 길 찾기 - 마을생태의 복원과 세시풍속의 연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90호 / 5 ~ 41페이지
    · 저자명 : 강석민

    초록

    최근 ‘마을’을 둘러싸고 전개되고 있는 경제․사회․문화적 실천의 장이 여러 흐름들의 교차와 중첩 혹은 혼종적인 차원에서 구성되고 있다는 점에 주의를 기울인다면,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새로운 시선과 관점에 입각한 방법론의 창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그러한 문제의식 속에서 제출되었으며, 특히 ‘마을 속 도시’ 혹은 ‘도시 속 마을’이 오늘날 어떤 식으로 존재하고 여기에 접근해가는 방법은 또 무엇인지 짚어보고자 한 것이다. 그에 따라 이 글은 ‘마을’을 지칭하던 종래의 언어들을 이른바 ‘마을살이’로 재규정하고, 민속적인 것이 재현되는 한 양태라고 할 수 있는 마을생태의 복원과 세시풍속의 연관 문제를 실마리로 삼아 이를 실천적인 차원에서 정립하고자 했다. 서울 정릉천 상류 일대에서 활성화되었던 ‘버들치마을’ 사례는 그와 같은 문제 지점들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사례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기본적으로 연구 대상과 목적에 접근하기 위한 인식론적 전제의 설정을 새롭게 시도해보았다. 먼저 현재의 시점에서 확인할 수 있는 마을 형태의 역사적 형성과 그 성격을 살펴볼 때, 이를 ‘마을살이’라는 언어로 재규정할 수 있다는 점을 거론했다. 이때 중요한 것은 마을이라는 것이 분명한 물질적․생업적 토대 위에서 생성된 공동체적 생활 양식임과 동시에, 해당 공동체가 추구하는 관념과 의식 혹은 가치 지향을 현실화․가시화하는 문화구성체로 존재해왔다는 점이다. 그런 다음, 자본의 순환 및 가치 운동과 긴밀하게 맞물려 근대적 도시 형태가 주조되어 오고 있다는 점을 중요하게 지적하면서, 마을생태 복원의 행동 속에서 이전과 다른 역장(力場) 혹은 긴장적 배치가 도시적인 것의 장 속에 기입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나아가 이것을 도시 속에서 사건적․국면적으로 전개되었던 마을살이의 현대적 판본으로 규정하면서, 해당 사례가 생태적 문화형식의 기획과 실행을 통해 반복과 소통의 시간 감각을 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고유한 리듬과 정동을 구축해왔다는 점을 거론했다. 마지막으로, 남겨진 문제는 마을행동의 정책적 흐름이 보이고 있는 역량의 포섭 혹은 한계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를 ‘매듭’이라는 메타포를 통해 주제화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If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ield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practice that has recently been developing around “village” is formed at the level of intersection, overlap, or hybrid of various flows, what we are asked for is the creation of a methodology based on a new perspective and perspective. This article was submitted with such a sense of problem, and in particular,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urban in the village” or “the village in the urban” exists today and how to approach it. Accordingly, the important point of this article is to redefine the traditional languages that used to refer to “village” as so-called “village life,” and to establish them on a practical level, we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toration of village ecology and the customs, which can be said to be an aspect of representing folk things. The case of “chinese minnow village(beodeulchi-mauel),” which was activated in the upper reaches of Jeongneungcheon Stream in Seoul, can be said to be an important case to look at such problem points.
    To this end, this article basically tried to establish a new epistemological premise to approach the subject and purpose of the study. First, while summarizing the historical formation of the village form and its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firmed at the present time, I tried to redefine it in the language of ‘village lif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a village is a community lifestyle created on a clear material and livelihood basis, and at the same time, it has existed as a cultural complex that realizes and visualizes the ideas, rituals, or value orientations pursued by the community. Then, it was important to point out that the modern urban form has been cast in close conjunction with the capital cycle and value movement, and that a different station field or tense arrangement is written in the urban field in the action of restoring the village ecology. Furthermore, defining this as a modern version of village life that was developed incidentally and nationally in the city, it was mentioned that the case has independently formed a sense of time of repeti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cultural forms, and based on this, a unique rhythm and affection have been established. Finally, pointing out that the remaining problem is the inclusion or limitation of the capacity shown by the policy flow of village behavior, we tried to make it a theme through the metaphor of ‘kn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