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매월당 김시습의 장자관 : ‘인간세’의 맥락에서 본 현실비판 인식과 방외인의 철학 (View of Chuang Tzu of Maewoldang Kim Si-seop : Recognition of Criticism of Reality and Philosophy of Outsiders in the Context of “The Human World”)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2.09
27P 미리보기
매월당 김시습의 장자관 : ‘인간세’의 맥락에서 본 현실비판 인식과 방외인의 철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100권 / 107 ~ 133페이지
    · 저자명 : 이종성

    초록

    매월당 김시습은 조선조를 대표하는 학자로서 수양대군의 왕위찬탈 사건의 불의함을 보고 당시의 현실에 항거하여 은둔과 유랑의 삶을 선택한 생육신 가운데 한 명이다. 이 글은매월당의 유불도 삼가사상 가운데 도가사상에 초점을 맞춰 그의 학문관을 살펴보고자 한것이다. 이 글은 특히 매월당이 본 장자관의 기본입장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이 목표이다.
    매월당은 자신의 시대가 장자가 언급한 인간세와 같다고 규정한다. 인간세란 기본적으로 인간이 살아가는 세상을 가리킨다. 그러나 장자는 특히 정치적 혼란의 상황으로 야기된난세를 지칭하여 인간세라고 규정한다. 매월당은 이러한 장자의 사상을 계승하여 자신의시대를 인간세라고 규정한 후 그 위에서 펼쳐지는 갖가지 병폐들을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반성을 촉구한다. 여기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장자적 의미의 자연세계를 대변하는 도교적 천상의 세계이며, 신선에로의 변화 가능성을 꿈꾸어보는 것이었다.
    매월당은 인간세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편으로써 인간세의 가치 덕목이라 할 수 있는 외물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와 이를 통한 거리두기의 입장을 취한다. 매월당은 외물에 대한거리두기 차원에서 장자의 좌망에 주목하고 무사, 무려와 같은 무심의 마음상태를 간직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월당은 방내인의 삶의 한계를 비판함과 동시에 방외인의 삶이 가지고 있는 철학적 의의에 대해 주목하기도 한다. 그가 방내인이 이해하기에곤란한 미친 행동을 보인 것이라던가, 평생 졸박한 삶의 태도로 일관한 것, 그리고 자기자신을 가리켜 기형아와 같은 사람이라고 평가하면서 한 세상을 살아간 것은 매월당의 삶의 자취가 장자철학과 밀접하게 연관된 방외인의 삶 그 자체였음을 알려준다.

    영어초록

    Maewoldang Kim Si-seop, a scholar representing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Six Loyal Subjects who saw the injustice of Grand Prince Suyang’s usurpation of the throne and chose a life of seclusion and wandering in protest against the reality of the time.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his academic view by focusing on Taoism among Maewoldang’s three though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particular,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asic position of the view of Chuang Tzu seen by Maewoldang.
    Maeoldang stipulates that his age is the same as the Human World mentioned by Chuang Tzu. The Human World basically refers to the world in which humans live. However, Chuang Tzu defines the Human World as the hard world caused by the political turmoil. Maewoldang inherits this thought of Chuang Tzu, defines its own era as the Human World, points out various ills that are unfolding there, and urges reflection on it. What is suggested here as an alternative is the Taoist heavenly world representing the natural world meant by Chuang Tzu, and dreaming of the possibility of change into Taoist Hermit.
    As a way of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Human World, Maewoldang takes a negative attitude toward extraneous things, which can be called the value virtues of the Human World. Maewoldang emphasizes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Chuang Tzu’s Sitting to Empty the Mind in order to keep distance from extraneous things and to keep the state of mind of Nonthought, or Non-thinking. In this context, Maewoldang criticizes the limitations of the lives of insiders and at the same time pays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lives of outsiders. It tells us that the traces of Maewoldang’s life were the lives of outsiders, closely related to the philosophy of Chuang Tzu, such as showing crazy behavior difficult for insiders to understand, being consistent in his lifelong attitude toward unpretentious life, and living in a world while valuing himself as a person like a deformed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