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세 차례 산업혁명의 반성적 고찰 (A Study of Christian Response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the Reflection of Three Industrial Revolution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0.06
34P 미리보기
기독교의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세 차례 산업혁명의 반성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51호 / 191 ~ 224페이지
    · 저자명 : 조용훈

    초록

    이 논문은 과거 세 차례 산업혁명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을 자기반성적 관점에서 살펴서 교훈을 얻는 데 목적이 있다. 여기서 얻은 교훈은 4차 산 업혁명기를 맞은 한국교회의 바른 대응을 위해 필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세 차례 산업혁명기 교회의 대응에 대한 연구를 통해 우리가 반성하고 배울 점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국교회는 세 차례 산업혁명의 과정을 압 축적으로 경험하느라 급변하는 정치현실에 휩싸이면서 산업사회의 토대인 기술(사회) 문제에 대해서 신학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무관심했다. 둘째, 기 술문제의 특성과 복합성에 대해 이해력이 충분치 못한 결과 혁신기술에 대 해 근거 없는 공포와 열광이라는 혼란에 사로잡혔다. 혁신기술을 실체가 아닌 유령처럼 생각했음을 반성해야 한다. 셋째, 기술을 운명론적으로 접 근하여 신화화함으로써 기술을 윤리의 문제로 다루지 못한 잘못을 저질렀 다. 기술이 장점과 단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선악 이원론 혹은 테크노피 아와 디스토피아라는 기술결정론에 빠졌다. 이러한 반성에 기초해서 한국교회는 기술(사회)문제에 신학적으로나 윤리적으로 더 많이 관심하고, 기술들의 실체를 정확히 아는 데 힘써야 한 다. 그러려면 기술에 대한 공학적 이해를 넘어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다양한 측면을 함께 살피는 학제 간 접근이 필요하다. 그리고 혁신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생겨나는 윤리적 이슈들에 대한 판단능력을 기르고, 갈등을 넘어 사회적 합의를 끌어낼 수 있는 정치적 책임능력을 길러야 한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learn lessons from the selfreflective perspective how Christianity responded to the previous three Industrial Revolutions. The lessons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Churches to cope with the challe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less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churches weren’t academically interested in the issue of technology (society) because of urgent political issues such as human rights, democracy and Korean re-unification out of the economic growth under autocracy. Second, they were captivated by groundless phobia and enthusiasm for innovative technologies due to their lack of ability to discern the complexity of technology and their features. Third, they dealt with the issue of technology (society) from their fatalistic attitude which approaches to a strict dualistic view of selection between ‘Good’ and ‘Evil’ or ‘Technopia’ and ‘Dystopia.’ Therefore, they could not appropriately judge the values of technology between human liberation and oppression. Building on this reflection, Korean churches should be more interested in the issue of technology (society) theologically and ethically. They should make an effort to cultivate their technology literacy for Korean Christians. Beyond the knowledge of the realities of technologies and their complexity, they need to carry out interdisciplinary research with politicians, economists, sociologists and theologians. Korean churches should not only educate the ability to recognize social conflicts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technology, but also foster their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social consensus to overcome its disadvant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