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II): 록펠러 3세 기금 (JDR 3rd Fund) (The Rockefeller Foundation’s Cultural Projects and the Korean Art Community (II): JDR 3rd Fund)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0.02
23P 미리보기
록펠러 재단의 문화사업과 한국미술(II): 록펠러 3세 기금 (JDR 3rd Fund)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39권 / 53 ~ 75페이지
    · 저자명 : 정무정

    초록

    이 논문에서는 1963년 설립되어 자동차 사고로 인해 존 록펠러 3세(John D.Rockefeller 3rd)가 급작스런 죽음을 맞이한 1978년까지 지속한 록펠러 3세 기금(JDR 3rd Fund)을 중심으로 록펠러 재단이 한국미술계를 위해 펼친 지원사업의양상과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록펠러 3세 기금은 미국과 아시아 사이에 시각예술과 공연예술 분야 문화교류 지원을 위해 1963년에 설립된 기구로서 록펠러 아카이브 센터에서 검색한 자료를 토대로 미술 분야에 한정해서 한국의 미술가와 학자가수혜를 받은 사례를 살펴보면 회화/조각 분야에 김창열, 윤명로, 최만린, 김환기, 김차섭, 김병기, 박종배, 미술사 분야에 안휘준, 박물관학 분야에 김재원, 권이구, 손보기, 고고학 분야에 김원룡, 건축 분야에 강홍빈 등이 있다.
    록펠러 3세 기금이 동서문화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1963년에 시작한 아시아 문화프로그램 (Asian Cultural Program)은 1) 아시아인에게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아시아인이 미국과 때로 유럽 또는 아시아에서 훈련을 받고 예술활동을 시찰할 수있도록 여행과 유학 장학금을 제공하고, 2) 아시아 문화전통의 검토와 보존을 고무하기 위해 아시아 박물관 인력이 등록, 목록작성, 사진 자료, 설치, 보존, 교육프로그램 같은 분야에서 박물관 훈련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하며, 3) 아사아의 문화적 업적이 미국에서 전시, 공연되는 것을 촉진하기 위해 전시, 공연 투어, 강연-실연 투어,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4) 아시아에서 미국의 문화적 업적의 전시와공연을 촉진한다는 4가지 사업목표를 갖고 있었다.
    이 프로그램을 기획한 포터 맥크레이(Porter McCray)는 다양한 가치를 지니고서로 다른 발전단계에 있는 나라들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각 나라가 지닌 독특한문화에 대한 상호존중과 교류가 필요하고 그것을 토대로 생산적인 문화 관계가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아시아 문화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한 모델을 개발했다. 사업의목표와 대상 지역 그리고 지원 분야를 고려할 때 록펠러 3세 기금의 프로그램은1950년대 파스가 아시아에서 추진한 문화지원 활동이 고도화된 것이라 평가할 수있다.
    1975년 아시아 문화프로그램 운영 12년간의 활동을 평가하기 위해 록펠러 3세기금은 개인 수혜자들을 대상으로 기금의 지원이 수혜자의 개인적 발전과 경력 그리고 소속기관의 업무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한국인수혜자 총 55명 중 설문지를 작성하여 보낸 사람은 총 11명으로 추정되는데, 이설문지 내용을 살펴보면 수혜자들이 록펠러 3세 기금의 지원 덕택에 한국의 박물관 제도가 정착되고 고고학과 미술교육 분야가 발전하게 되었다는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수혜자가 한국으로 귀국하지 않고 미국에 정착함으로써 록펠러 3세 기금의 애초 의도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는 한계도 찾아볼 수있다. 1970년대에 록펠러 3세 기금은 문화교류의 정치, 경제적 가치를 중시하며일방적으로 지원에서 방식에서 벗어나 상호교류를 강조하는 방식으로의 변화를 꾀한다. 그 과정에서 경제성장을 배경으로 등장한 한국문예진흥원이나 대우재단과같은 한국 공‧사립 문화재단은 상호교류의 주요한 파트너였다. 이러한 문화재단의출현은 록펠러 재단이 아시아에서 펼친 문화사업의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할 수있다. 록펠러 재단이 한국 공‧사립 문화재단의 형성과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는 1970년대 ACC의 사업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ockefeller Foundation’s cultural projects in Korea during the 1960s~1970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JDR 3rd Fund. The JDR 3rd Fund was established in 1963 to support cultural exchanges in the visual and performing ar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Asia. The Fund had four objectives: “(1) to foster advancement of opportunity for Asians, (2) to encourage evaluation and preservation of Asian cultural tradition, (3) to promote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of Asian cultural achievements in the United States, (4) to promote exhibitions of performances of American cultural achievements in Asia.” As a way to achieve some of these objectives, the Fund made grants to Asian artists, scholars, and cultural leaders pursuing such activities as research, study, and creative work in the United States. Porter McCray, director of the Fund, tried to search for individuals with unique potential and motivation. Once identified, individual grantees were provided with personalized assistance such as determining which American institutions could best serve their needs, finding housing for their families, and so on. Thus, its program can be seen as sophisticating the programs operated by Charles B. Fahs during the 1950s. Among the Korean grantees were Kim Tschang Yeul, Youn Myeong Ro, Kim Whanki, Kim Tchah Sup, Kim Byung Ki, Park Chong Bae, Ahn Hwi Joon, Kim Che Won, Kwon Yigu, Sohn Pow Key, Kim Won Yong.
    In 1974, the JDR 3rd Fund sent questionnaire to individual Asian grantees to review its twelve-year operation of the Asian Cultural Program.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elicit their views of how their development and careers had been affected by the Fund’s assistance. Only 11 out of 55 Korean grantees are presumed to have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ir responses show that the Fund’s assistance was greatly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Korean cultural institutions and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archaeology and art eduation.
    During the 1970s, the JDR 3rd Fund sought for change by placing greater emphasis on mutual exchanges instead of one-way assistance. The Korean Culture and Arts Foundation and the Daewoo Foundation were major partners in pursuing those bilateral exchanges. In this context, the appearance of public and private cultural foundations in Korea can be seen as the most significant achievement of the Rockefeller Foundations’ cultural projects in Korea. It has yet to be studied, however, how the Rockefeller Foundation affected the formation and activities of Korean cultural found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