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후기 갱신세의 환경압과 동아시아 고인류의 분포 및 기술상 (A Speculation on the Mid-Late Pleistocene Environmental Stress of East Asia in the Context of Hominin Distribution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3.06
23P 미리보기
중·후기 갱신세의 환경압과 동아시아 고인류의 분포 및 기술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고학보 / 2023권 / 2호 / 155 ~ 177페이지
    · 저자명 : 유용욱

    초록

    본고는 한반도를 포함하는 동아시아 구석기가 단순하면서 뚜렷하지 않은 변이를 가지는 특성의 정황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중기갱신세 이래의 동아시아 환경상을 조망하였다. 동아시아는 후기갱신세 이전까지 대륙성 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교적 온화한 환경이 지속되었으며 중기갱신세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고인류의 점거 흔적이 활발해지기 시작한다. 그러나 당시의 고인류는 낮은 생계압의 영향하에 동물보다는 식물자원의 이용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동아시아의 이런 환경적 특성과 낮은 인구밀도는 뚜렷한 기술적 특징이 부족한 구석기공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인다. 그 후 MIS 4기부터 열악해지는 환경상의 변화로 인하여 동물자원 활용이 증가하고 석기군의 기술적 진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MIS 3기의 짧은 온난기 동안에 한반도를 포함한 대다수의 구석기 유적이 집중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전곡리 및 청파대 동굴 등에서 발견된 한반도 중부의 주먹도끼는 이러한 과정에서 가시화된 보다 현저한 기술적 전통의 산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observes the general nature of environmental change in the Pleistocene of East Asia, including that of the Korean Peninsula, by contextualizing it with the simple and indistinct variation of East Asian palaeolithic assemblages. The evidence of hominin occupation increased markedly from the latter half of the Mid-Pleistocene in East Asia. The climate then had been mild and pleasant with the influence of Asian monsoons; accordingly, Asian hominins used to depend on plant resources rather than animals under less stressful environmental conditions. This ecological trait and the low hominin population level were possibly responsible for the less-accentuated characteristics and unwitnessed temporal variation of East Asian lithic assemblages. As of MIS 4 in the Late Pleistocene, howev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severely deteriorated and hominins turned to more frequent animal exploitation. The changing environmental context led hominins to take more vivid technological advancement and inspired them to yield unprecedented temporal and spatial lithic variation across the Asian continent; the number of palaeolithic local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rapidly increased during the short, warm MIS 3. The production of handaxes in the mid-Korea seems to have emerged as a result of regional traditions formulated under this hominin-environment interaction of th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