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독교병원 교직원을 위한 영적 돌봄 사역- 용인세브란스병원 힐링캠프 (A Spiritual Care Model for Medical Staffs in Christian Hospital: The Healing Camp of Yongin Severanc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03
23P 미리보기
기독교병원 교직원을 위한 영적 돌봄 사역- 용인세브란스병원 힐링캠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선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학과 선교 / 59호 / 131 ~ 153페이지
    · 저자명 : 이주형

    초록

    본 연구는 영적 돌봄과 전인적 치유를 지향하는 기독교 병원 원목실이 번아웃 증후군(Burnout Syndrome)과 조용한 퇴사 (Quiet Quitting)현상을 경험하는 MZ세대 교직원들을 돌보기 위한 새로운 사역 모델의 이론적 토대 구축을 시도한다. 과학기술 발달과 최첨단 의료기술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룩한 기독교 종합병원에서 근대사회의 보편적인 사회 문제가 감지되는 원인을 인간 소외와 파편화로 분석하며, 근대적 세계관이 추동하는 외연과 내면의 분리와 파편화를 극복하는 기독교 영성적 접근으로 파커 팔머의 전인적 인간이해와 내면 탐구를 제시한다. 파커 팔머의 영성교육 이론에 기초한 ‘마음의 씨앗 (the Circle of Trust)’ 프로그램을 토대로, 목회적 상황에 최적화된 힐링캠프를 교직원 영적 돌봄 사역의 모델로 실행하고, 그 신학적 토대와 구조화를 소개한다. 힐링캠프에 참여한 80명 교직원이 작성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여, 새로운 영적 돌봄 사역이 교직원들의 심리정서적 안정감, 직장에 대한 소속감과 공동체성 함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파악한다. 이를 통해, 현대인들이 일반적으로 경험하는 자아 분열과 소외, 파편화의 위험으로부터 구성원을 보호하고, 치유와 회복의 경험을 통해 소명의식을 고취시키는 기독교 병원 원목실의 영적 돌봄 사역의 지속가능성을 증명하고자 시도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a new ministry model for a Christian hospital chaplaincy that aims for spiritual care and holistic healing to care for Generation MZ staff members who experience burnout syndrome and Quiet Quitting. Analyzing human alienation and fragmentation as the cause of the perceived universal sociopathology of the modern world in Christian hospitals that have made leaps and bounds i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cutting-edge medical technology, this paper presents Parker Palmer’s holistic inner exploration as a Christian spirituality approach that overcomes the separation and fragmentation of the outer and inner worlds promoted by the modern worldview. Based on the “the Circle of Trust” program, which is based on Parker Palmer’s theory of spiritual educ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theological foundation and structure of “the Healing Camp” as a model of spiritual care ministry optimized for pastoral situations.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s completed by 80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ing camp, this study identifies whether the new spiritual care ministr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faculty member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belonging to the workplace, and fostering community. In doing so, it attempts to demonstr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spiritual care ministry of a Christian hospital chaplaincy that protects its members from the dangers of self-division, alienation, and fragmentation that are common in contemporary life, and inspires a sense of vocation through experiences of healing and resto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