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붓다의 고행 배경에 대한 비교 연구 - 세 가지 비유(Tisso upamā)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background of Buddha’s ascetic practices: with three metaphors(Tisso upamā))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2.12
30P 미리보기
붓다의 고행 배경에 대한 비교 연구 - 세 가지 비유(Tisso upamā)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13호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도정태

    초록

    초기경전에 의하면 붓다는 보살시절에 육체를 괴롭히는 고행(苦行, tapas)으로는 정각을 이룰 수 없다는 사실을 자각(自覺)하고 몸에 고통을 주는 고행을 포기하였다. 그 후 어릴 적 부왕(父王)을 따라 농경제에 참석하여 초선(初禪)에 들었던 기억을 떠올리고 선정이 곧 정각에 이르는 길이라고 생각하였다. 보살은 쇠약해진 몸으로 선정에 이르기가 힘들다고 보고 음식을 섭취하고 다시 힘을 얻어 선정을 닦아 사선(四禪)․삼명(三明)을 성취하여 정각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정각과정 중에서 붓다가 고행을 행하게 된 계기로 경전에서는 세 가지 비유가 떠올랐기 때문이라고 서술한다. 그러나 세 가지 비유에서는 고행을 행하든지 행하지 않든지에 상관없이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감각적 쾌락에서 벗어나면 깨달음에 이를 수 있다고 했는데 왜 붓다는 굳이 고행을 선택하였는지 의문이 들게 된다.
    보디(Bodhi)는 붓다의 정각 과정에서 서술되는 세 가지 비유가 붓다의 고행 다음에 나타나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보았다.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장아함경 산스끄리뜨 사본(寫本)을 보면 세 가지 비유가 출현하는 위치는 빠알리 경전에서와 달리 보살의 고행 다음에 나타난다. 아날라요(Anālayo)도 보디의 의견에 동의하여 문맥의 흐름상 이 산스끄리뜨 사본에서처럼 세 가지 비유가 고행을 끝내고 선정에 들기 전에 위치하는 것이 더 알맞다고 보았다.
    세 가지 비유가 제시하는 바는 감각적 욕망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제를 강조하기 위한 상징적인 비유로 쓰였다고 본다. 세 가지 비유는 그 의미가 변이(變異)되어 『맛지마 니까야(Majjhima-nikāya)』의 제119경과 제126경에서도 나타난다. 또한 『좌선삼매경(坐禪三昧經)』이나 대승의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과 같은 후기 불교문헌에서도 이러한 비유가 응용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로서 붓다의 고행 배경은 그 당시 자이나교나 바라문과 같은 출가 사문들의 고행하는 전통과 관계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자이나교는 고행을 우선시하여 해탈의 수단을 삼았던 반면, 붓다는 고행과 쾌락을 떠난 중도의 선정 수행으로 깨달음을 성취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그 당시 고행주의 전통에 비추어 하나의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early Buddhist texts, when Buddha was bodhisattva, after he realized that he could not attain enlightment through ascetic practices[pali, tapas] which had racked his body, he abandoned the self-mortification. The reason why Bodhisattva decided to do austerities, according to Mahasaccaka-sutta , is that three similes occurred to him. However, the three similes explain that if anyone frees from sensuality, he could attain enlightenment, independent of whether he practises austerities or not. So it is puzzling that why bodhisattva did very arduous ascetic practices.
    Bodhi suggests that the appropriate place for the simile would be at the end of the Bodhisatta’s period of ascetic experimentation, when he has acquired a sound basis for rejecting of self-mortification. According to Dirgha-āgama Sanskri fragments, the place for three similes is at the end of the bodhisattva’s austerities unlike pali Buddhist text.
    The three similes are to emphasize that practitioners must stay aloof from sensuality in body and mind in order to attain enlightenment. So the simile seems to be used as symbolic meaning. The three similes are also used as different meanings in another tex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