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 가지 어법과 감각의 서사 - 김훈의 「화장」에 나타난 문체적 특성 (Three wording & Description of sensibility - The character of style expressed in Kim, Hun’s “Hwa-Jang)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08.12
40P 미리보기
세 가지 어법과 감각의 서사 - 김훈의 「화장」에 나타난 문체적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21권 / 249 ~ 288페이지
    · 저자명 : 강혜숙

    초록

    문체는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라는 형식 차원의 문제를 통해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라는 내용 차원의 문제로까지 나아감으로써 형식과 내용을 아우른다는 점에서 문학 작품에 대한 유용한 해석과 평가의 틀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에 주목하여, 김훈의 「화장」이 어떤 문체로 죽음과 생명, 인간존재나 삶이 어떠하다고 말하고 있는지를 논의해 보았다.
    김훈의 「화장」은 아내에 대한 이야기, 추은주에 관한 이야기, 화장품 회사 상무로서의 ‘나’에 관한 이야기라는 세 줄기의 서사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로부터 각각 세 가지 문체적 특성과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아내에 대한 서사에서는 서로 상반되거나 이질적인 것들을 동일한 위치에 놓는 모순(矛盾)의 어법이라는 문체적 특성이 나타나며, 이를 통해 죽음은 모순적인 것이고 그만큼 알 수 없는 것이라 말하고 있다. 그리고 추은주에 관한 서사에서는 앞선 서술에 반하는 서술이 겹쳐지는 부정(否定)의 어법이 드러나고, 이런 문체적 특성을 통해 생명은 확실하고도 모호하여 닿을 수 없는 것이라 이야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화장품 회사 상무로서의 ‘나’와 관련된 서사에서는 하나의 대상을 파편화시켜 그 각각의 조각을 쉼표를 사용하여 열거하는 분절(分節)의 어법을 분석해볼 수 있으며, 이는 ‘나’의 직업이 가지고 있는 거짓과 허위의 측면을 말함으로써 ‘나’의 일상 역시 그 거짓과 허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문체적 특성이다.
    작품 전반에 걸쳐 있는 문체적 특성인 감각과 관련된 서술들은 세 줄기 서사가 겹쳐지는 중심점인 서술자 ‘나’와 연계되어 있으며, 서술자 ‘나’가 감각을 통한 경험으로 현실을 인식하고 또한 그 인식된 내용을 서술한다는 점을 나타냄으로써 그런 도구를 지닌 서술자 ‘나’의 몸을 부각시키는 역할하고 있다. 그리고 서술자 ‘나’의 몸에 대한 서술을 통해 서술자 ‘나’의 몸이 소멸하고 있는 몸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화장」에서 말하고 있는 인간존재란 소멸하고 있는 몸을 지니고 죽음을 향해 다가가고 있는 존재라고 해명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인간존재의 그 소멸하고 있는 몸을 중심으로 앞서 언급한 세 가지 서사의 의미가 겹쳐지면서 「화장」이 말하고 있는 삶이란 어떤 것인지가 드러난다. 「화장」에서 말하고 있는 삶이란 생명이라는 확실하고도 모호하여 닿을 수 없는 것을 뒤에 두고, 죽음이라는 모순적이고 알 수 없는 것을 향해 다가가면서, 거짓과 허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일상을 살아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tyle is the useful frame of explanation and evaluation for literary works in that it puts together forms and contents from the matter of forms;‘How to express’ to the matter of contents;‘What is expressed’. In this point of view, I’ve discussed that what style in Kim Hun’s “Hwa-Jang” expressed death and life, and human being or living.
    Kim, Hun’s “Hwa-Jang” has three types of description relating to the stories of the wife, Chu, Eun-ju, and ‘I’ as an executive director of a cosmetic company. Through each description, each character of style is caught. In the description of the wife, the wording of contradiction putting something contrary or heterogeneous each other in the same position is expressed as the character of style, through which death is put as contradictory and as much unknown. Then, in the description of Chu, Eun-ju, the wording of denial making the later depiction opposed to the former one is used, and through this character of style, life is expressed as beyond our reach because of its certainty and ambiguousness. In the last description of ‘I’ as an executive director of a cosmetic company, the wording of the segment in which one object is divided into pieces and then each piece is listed through using commas can be analyzed; this character of style implies that ‘I’ is not free from falsehood and fraud of the daily life by expressing the side of falsehood and fraud in the job of ‘I’.
    The descriptions related with sensibility which is the main character of the styles through the whole work are connected with the narrator ‘I’ as the central point of overlapping three descriptions, and play the role to emphasize the body of the narrator ‘I’ that has such a tool by emphasizing that the narrator ‘I’ recognizes reality by the experience through the sensibility and describes the recognized contents. The descriptions also imply that the body of the narrator ‘I’ means the disappearing one through the description concerning the body of the narrator ‘I’.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uman being expressed in the “Hwa-Jang” is the one that has the disappearing body moving toward the death. And the meaning of life expressed in the “Hwa-Jang” is then revealed with the overlapped meanings of the three formerly referred descriptions highlighting the disappearing human body. It can be said that the living expressed in the “Hwa-Jang” is the living which is not free from falsehood and fraud with our approaching the death which is contradictory and unknown at the back of the life itself which is certain, ambiguous and beyond our rea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