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칠석 시회(詩會)의 세시풍속적 면모와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Banquet in Chilseok and its Potential as the Cultural Conten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8
25P 미리보기
칠석 시회(詩會)의 세시풍속적 면모와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38권 / 155 ~ 179페이지
    · 저자명 : 송미경

    초록

    본 논문에서는 칠석 시회의 세시풍속적 면모를 고찰하고, 문화콘텐츠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그것이 지니는 전통문화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보았다.
    세시풍속이란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같은 시기에 반복되는 주기전승의례로, 시계성(時季性), 주기성(週期性), 순환성(循環性)을 기본 속성으로 한다. 칠석 시회가 칠석의 세시풍속에 포함되는 것은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의 절기에 바탕한 시계성, 1년을 주기로 매년 음력 7월 7일에 반복되는 주기성과 순환성을 모두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칠석 세시풍속으로서의 칠석 시회는 고려에서 조선,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유지․전승되었다.
    오늘날 문화콘텐츠 산업에서는 이야기가 하나의 코드로 적극 활용된다. 원천 자원으로서의 이야기 및 기법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이 중시되는 현재의 흐름을 고려할 때, 칠석 시회는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 전통문화라 할 수 있다.
    첫째, 칠석 시회는 건강, 기운, 재복의 충전이라는 ‘특별한’ 의미 획득을 가능하게 하는 시계적 특수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세시풍속 문화콘텐츠를 기획할 때, 칠석 시회의 시계적 특수성을 부각하는 스토리텔링을 덧입힌다면, 기존의 여름 나기에서 한 걸음 나아가 건강, 기운, 재복의 충전이라는 의미까지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특별한’ 스토리텔링과 의미는 드림 소사이어티의 시대에 세시풍속 문화콘텐츠를 향유하는 이들에게도 큰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칠석 시회는 상상과 낭만을 자극하는 견우직녀 이야기라는 원천 서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칠석 시회에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만들어질 수 있는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이 어린 시절부터 동화로 접하는 매우 익숙한 서사일 뿐만 아니라 한국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가 공유한다는 장점도 있는바, 내국인은 물론 해외 관광객 대상의 문화콘텐츠 기획도 가능하다. 과거의 전통적인 칠석 시회에서는 견우직녀 이야기가 다소 제한적으로 수용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이 점을 보완하여 향유자들이 다양한 감성을 표출할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겠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nquires closely into the details of the Chilseok poetry banquet as an seasonal and calendaric rituals and explores its possibilities as digitizing cultural heritages, from the viewpoint of cultural contents.
    It is a ritual of the cycle tradition which repeats at the same time from the first month of the lunar calendar to the end, and has the basic property as the seasonalness, the periodicity and the circulation. The reason why the Chilseok poetry banquet is included in the seasonal and calendaric rituals of the Chilseok is that it is based on the season between late summer and early fall, and it has the periodicity and cyclability repeated on July 7th of the lunar calendar every year. The Chilseok poetry banquet as a seasonal and calendaric ritual of the Chilseok period was maintained and handed down from Koryeo to Joseon, to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oday, in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stories are actively used as a single code. Taking into account the current trend of storytelling as a source of stories and techniques, the Chilseok poetry banquet is a traditional culture that can present the possibilities and prospects as cultural contents.
    First, the Chilseok poetry banquet has a timeless peculiarity that makes it possible to acquire the 'special' meaning of recharging health, energy and joy. If someone adds a storytelling that emphasizes the timeless speciality of the Chilseok poetry banquet when planning a culture content based on seasonal and calendaric rituals, it will be able to acquire the meaning of recharging health, energy, and luck with money by going a step further from the existing one. Such 'special' meaning can be a great response to those who enjoy the culture contents based on seasonal and calendaric rituals in the Dream Society era.
    Second, the Chilseok poetry banquet has a source narrative of the story of Gyun-woo and Jing-nyuh stimulates imagination and romance. There was a story in Chilseok poetry banquet. And this story has the potential to be made into various cultural contents. Most Koreans are very familiar with storytelling from childhood, and it is also a story shared by East Asia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It is also possible to plan cultural contents for Koreans as well as foreign tourists. In the past, the traditional Chilseok poetry banquet tended to accept the narrator 's story only slightly, so it would be necessary to encourage the audience to expr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