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모를 쓴 야인: 강세황의 70세 자화상과 자기인식의 표현 (A Recluse Wearing an Official’s Hat: Kang Sehwang’s Self-Perception Expressed in His Self-Portrait at the Age of 70)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7.11
32P 미리보기
관모를 쓴 야인: 강세황의 70세 자화상과 자기인식의 표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와 시각문화 / 20호 / 68 ~ 99페이지
    · 저자명 : 이경화

    초록

    1782년 70세의 강세황(姜世晃, 1713-1791)은 자신의 인생을 기념하여 한 장의 자화상을 그렸다. 이 그림 속에서 그는 관모에 야복을 착용한 낯선 차림새로서 화면 밖을 응시하고 있다. 강세황이 지은 자찬문에 의하면 관모는 조정의 관료를 의미하며 야복은 산림의 지식인을 의미한다. 이런 상반된 의미를 지닌 의상을 조합함으로써 강세황이 그리고자 하였던 자신은 어떤 인물인가? 강세황의 70세 자화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그의 삶을 돌아보면 뚜렷한 자기인식을 예술적으로 드러내는 순간들을 찾을 수 있다. 1766년 54년간의 인생을 정리한 「표옹자지(豹翁自誌)」는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자서전에서 강세황은 대대로 고관을 배출한 소북계 명문세가의 후손이라는 자각과 선조에 대한 계승의식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형 강세윤(姜世胤, 1684-1741)이 1728년 무신란에 가담한 혐의를 받아 유배된 이후 그의 가문은 급격히 쇠락하였다. 가문의 복권이 지연되면서 장기적인 금고의 상태에 처한 강세황은 1744년 처가인 진주 유씨가 세거한 안산으로 이주하였다. 안산에서 강세황은 어지러운 세상을 피해 출사를 포기한 은일자를 자처하였으며 동시에 가문의 복권을 위한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적극적으로 문인 사회의 회화 요구에 수응하며 시서화 삼절(三絶)로서 명성을 얻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1763년 강세황의 집안이 정치적 복권을 이루는 순간 그는 그림을 단념해야만 하였다. 그의 절필은 화가로서의 명성으로 인해 그의 가문이 관료 사회에서 논란에 휘말릴 가능성을 염려했던 영조의 교시에 의해 이루어졌다. 강세황은 문인으로서 새로운 정체성을 모색해야만 하였다. 「표옹자지(豹翁自誌)」에서 강세황이 절필의 과정을 상세히 기록하며 자신을 전형적인 여기화가(餘技畵家)로 그려낸 것은 온전히 문인으로서의 이미지를 공식화하려는 시도였다.
    1773년 마침내 영조의 소환을 받아 강세황의 출사가 성사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운명의 전환은 1776년 정조가 시행한 기구과(耆耈科)의 급제와 함께 찾아왔다. 정조는 강세황이 시문 외에도 서화의 능력을 겸비했음을 높게 평가했으며 그의 능력을 국정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서화의 효용성이 부각되었던 정조의 조정에서 강세황은 일련의 활동을 통해 관료로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였다. 1781년 정조의 30세 어진 제작의 감동을 계기로 절필을 마친 그는 1782년의 〈70세 자화상〉을 그렸다. 〈70세 자화상〉에서 관모는 강세황이 그간에 조정에서 얻은 관료로서의 성취를 의미할 것이다. 반면에 야복의 의미는 한해 앞서 한종유(韓宗裕)가 제작한 선면 초상화를 통해 보다 분명히 도출할 수 있다. 어진 제작을 마치고 규장각에서 그린 이 초상화에서 그는 산수와 노송을 배경으로 손에는 책을 든 지식인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것은 강세황이 세상에 보이고자 하는 정체성의 일면이 바로 산림에 머무는 탈속한 지식인임을 의미할 것이다. 강세황은 국왕의 부름을 받아 관료가 되었지만 재야 시절은 사회적 인정의 근거이자 자기정체성을 규정하는 의미 있는 측면으로 남아있었다.
    〈70세 자화상〉을 그리며 강세황은 고아한 정신세계를 의미하는 야복의 도상에 조정에서의 지위를 상징하는 관모를 더하였다. 아울러 화면의 여백에는 풍부한 지식과 예술적 재능에 대한 자부심을 담은 자찬문을 적었다. 서로 다른 정체성을 의미하는 도상과 내면세계를 묘사한 찬문은 자신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정교한 고안으로 이해된다. 강세황이 〈70세 자화상〉을 그리며 담아내고자 하였던 자신이란 뛰어난 능력을 인정을 받아 조정으로 부름을 받은 재야의 지식인, 바로 ‘관모를 쓴 야인’이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Kang Sehwang (1713-1791), one of the most renowned literati painters in 18th century Korea, painted a self-portrait in 1782 and wrote an autobiographic inscription on it. In this self-portrait commemorating his entire life, he depicted himself wearing a regular robe and an official’s hat. According to his inscription, the high official’s hat stands for his body serving at court and the non-degree holder’s robe symbolizes his mind dwelling in the mountain.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Kang Sehwang’s identity and its artistic expression as reflected in his Self-Portrait at the Age of 70. Since his adolescence, Kang had repeatedly produced self-portraits and written an autobiography to resolve the question of “Who am I?” In his autobiography Pyoong jaji written at the age of 54 in 1766, he narrated his life and endeavored to establish a public identity not as a painter but as a scholar. Kang was born into a prestigious scholarofficial family of Sobuk (Minor Northerners), one of the political factions in late Joseon Korea. The severe factional strife of his time affecting the political downfall of his family led him to retreat to Ansan where he spent most of his life as a politically frustrated scholar, devoting himself to art and literatu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political world, he immersed himself in painting and literature and came to gain a social reputation of having accomplished the Three Perfections (samjeol), which refers literally to excellence in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n Confucian society, it is a shame for a man of letter to practice painting. Aware of the Confucian social norms and following King Yeongjo’s (r. 1724-1776) advice, Kang decided not to paint upon social requests for about 20 years from 1763 to 1781.
    Kang was summoned as an official by King Yeongjo in 1773 and maintained his office until 1790. Kang passed the special government examination conducted by King Jeongjo (r. 1776-1800) in 1776 and strengthened his position at court. He directed court painters to complete the first portrait of King Jeongjo in 1781. Portrait of Kang Sehwang at the Age of 69 on a folding fan was executed in the same year by the court painter Han Jongyu after the king’s portrait was completed. In this portrait, Kang, although he had reached the summit of a court official’s career, was represented as a recluse holding a book, wearing a plain robe and sitting in front of a mountain. The portrait showed Kang’s desire to present himself to society as a lofty-minded scholar. Kang, bringing the period of “discarding the brush” to an end when directing the creation of the king’s portrait, painted his Self-Portrait at the Age of 70 in 1782. Contrary to the portrait by Han, Kang represented himself in this painting wearing a black official’s hat to signify his status as a high ranking official and revealed his pride regarding his knowledge and artistic talent in the inscription. Kang’s Self-Portrait at the Age of 70 epitomizes Kang’s self-perception as a scholar-official who was summoned to the court from reclusion and who received recognition for his outstanding abilities by the king and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와 시각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