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통의 정치윤리: 필리프 6세 치세(1328~1350)의 정치 담론 (Political Ethics of Communication: Political discourses in the reign of Philippe VI of Valois(1328-1350))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1.05
37P 미리보기
소통의 정치윤리: 필리프 6세 치세(1328~1350)의 정치 담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史叢(사총) / 103호 / 105 ~ 141페이지
    · 저자명 : 홍용진

    초록

    본 논문은 정치적 정당성이 취약했던 필리프 6세 치세(1328-1350)에 나타난 정치적 담론들을 살펴보기 위해 당대에 간행된 네 편의 정치윤리서의 특징들을 소개하고 그 의미를 당대의 맥락에서 조망해보고자 한다. 이 저작들은 필리프 드 비트리가 저술한 『세 송이 백합관』, 장 드 비녜가 번역한 『테오도로스 팔라이올로고스의 교훈』과 『장기로 보는 귀족과 평민의 도덕에 대한 책』, 장 드 마리니가 저술한 『국가와 통치』이다. 그리고 앞의 두 저작은 필리프 6세에게, 뒤의 두 저작은 당시 세자인 장(장 2세)에게 헌정되었다. 이 네 편의 정치윤리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공통점, 즉 1) 교회의 영향력에 대해 점점 더 자율적으로 되어 가는 정치공동체에 대한 관심 증대, 2) 정치적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한 정치공동체의 내재적 구성, 3) 왕권 신성화와는 무관한 정치적 의사소통에 있어서의 국왕 주도권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물론 정치공동체의 자율성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필리프 4세 치세의 정치담론들이 보여주는 왕의 신체에 각인된 정치체의 신성화, 또는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표현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오히려 1330-40년대 정치적 위기들로 짓눌린 프랑스 왕궁에서는 정치공동체의 한 구성원에 불과한 국왕과 정치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실질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이 저작들은 적어도 1350년대 이전까지 프랑스 왕정이 절대주의적 경향에서는 멀리 떨어져 있었다는 점을 보여준다. 결국 1350년에 즉위한 장 2세는 왕국의 개혁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왕권이 어떠한 주장이나 담론에 찬성이나 반대를 했다기보다 의사소통의 장이나 텍스트 생산의 영역에서 주도권을 잡아 나가기 시작했다는 사실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of four texts on political ethics, published in the reign of Philip VI (1328-1350) whose political legitimacy was weak, to examine political discourses at that time, and looks at their meanings in the political context. These four texts are Le Chapel des trois fleurs de lis written by Philippe de Vitry, Les Enseignements de Théodore Paléologue and Le livre de la moralité des nobles hommes et des gens de peuple sus le gieu des esches translated by Jean de Vignay, and L’Estat et le gouvernement, written by Jean de Marigny. The previous two works were dedicated to Philip VI, and the latter two, to the crown prince, Jean(Jean II). These have three things in common: 1) Growing interest in the political community, which was becoming increasingly autonomous from the influence of the church ; 2) Immanent formation of polity based on political communication ; 3) Royal intiative in political communication, far from sanctification of kingship. Of course, this interest in the autonomy of the politiy does not go toward the sanctification of the political body incarnated in the king's body, or the expression “chosen people”, as demonstrated by political discourses under the reign of Philip IV the Fair. Rather, in the royal court weighed by the political crises of the 1330s–40s, they stress that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of the political society and the king, also as its member, should take place. In other words, these works show that the French monarchy was far from absolutist tendencies until at least the 1350s. Eventually, King Jean II, who ascended the throne in 1350, began to lead the reform of the kingdom.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kingship, rather than for or against any argument or discourse, began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or text produ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史叢(사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