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웬세슬라오 페르난데스 플로레스(Wenceslao Fernández Flórez)와 환상문학 (Wenceslao Fernández Flórez and Fantastic Literatur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1.11
14P 미리보기
웬세슬라오 페르난데스 플로레스(Wenceslao Fernández Flórez)와 환상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외국문학연구 / 9호 / 285 ~ 298페이지
    · 저자명 : 전기순

    초록

    웬세슬라오는 1885년 스페인 북서부 지방 갈리시아 지방에서 태어나 20대 중반인 1910년대부터 50년대 후반까지 작품활동을 했다. 그의 글쓰기 작업은 저널리즘과 소설이라는 두 가지 영역에서 병행되었다. 오랫 동안 기자 생활을 했고 기자를 그만 둔 후에도 시사평론의 성격을 띤 글을 신문이나 시사잡지를 통해서 발표해왔던 그는 저널리즘에서부터 글쓰는 작업을 시작한다. 그가 발표했던 저널리즘 성격의 글들은 이런 종류의 글들이 필수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사실성에서 상대적으로 멀어져 있었다. 그의 저널리즘은 보다 상상력이 내포된 글이었는데 오히려 그런 비사실적 글쓰기는 신문독자들로부터 열광적인 호응을 얻는다. 그런 의미에서 그가 소설을 쓰게된 것은 자연스러운 흐름이었던 것이다.
    초기 소설에는 저널리즘의 글쓰기와 밀접한 유대를 가진다. 당대의 사회적 현상에 풍자(sátira)와 조소(burla)로 가득찬 비판적 시각의 글을 쓴다. 초기 소설은 1910년부터 스페인 내란이 시작되는 1926년까지 계속되는 데, 당시의 스페인은 군부와 교회를 중심으로 하는 우익과 사회주의가 첨예하게 대립되던 시절이었다. 부르주아 출신의 웬세슬라오는 특별히 정치적 이념을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우익보수세력을 옹호하는 내용의 글을 쓴다. 특히 그는 당시에 진행되던 문화의 대중화에 혐오감에 가까운 반응을 보였는데, 이런 현상은 후기의 그의 소설이 보여주는 대중적 색채와 상반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사회적 비판의 메시지를 담은 풍자적 소설은 1930년대 중반에 나온 소설들에서는 다른 형태로 전이된다. 작가는 특히 해학(humor)에 집착하게 되는데, 스페인 한림원 회원가입수락 논문에서 스스로 명확하게 표명한바 있는 그의 해학관은 그의 소설의 핵심적 요소가 된다. 그는 풍자와 조소를 사회적 담론과 연결시키고 해학은 비판의 기능에서 자유로워진 상태, 시회적 비판이라는 목적에서 해방되어 웃음과 희열 자체에 비중을 두는 보다 미학적 행위로 생각한다.
    이런 변화는 그의 후반기의 소설에서는 순수한 童話的 상상력으로 변모되어 <정령의 숲>에서 그의 소설 세계의 절정에 이르게 된다. 웬세슬라오가 자신의 페르소나를 형성한 영역은 정통한 소설 즉 역사를 바탕으로 한 사실주의 계열에서보다는, 탈 역사적인 작품들에 의해서이다. ‘대중적 작가(autor de masas)’라는 그에 대한 평가는 영화와 작가 관계에서도 확연히 들어 난다. 우선은 그의 작품이 여러 스페인 감독들에 의해서 영화화되었고, 작가 자신도 오랜 기간동안 영화의 시나리오 작업을 해왔다. 그에게 소설과 영화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웬세슬라오는 당대에는 많은 독자를 확보하면서 나름의 평가를 받았고, 스페인 한림원에서는 1936년 그의 문학세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그를 한림원회원으로 추천한다. 그러나 1964년 작가가 죽은 이후에 그의 작품은 대중적이라는 이유로 평가절하 되고 오랜 기간동안 그 존재가 잊혀진 소외된 작가였다. 그의 작품에 나타나는 탈 역사적인 성격은 비 정통한 작품과 동의어가 되어 그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유보되었다. 특히 그의 탈 역사적 성격은 때로는 현대성에 대한 고민이 없는 작가로 해석되기도 했다.
    1980년대에 들어서자 잊혀졌던 이 작가는 불현듯 나타나 새로운 평가를 받게된다. 문학이 전통적 아우라를 상실해 가는 시대가 되자, 영상물과 복제예술, 사이버가 주도하는 테크놀로지의 세계가 도래한 포스트모던 시대가 되자, 지난 시대의 천박한 대중성은 현재의 시대를 앞선 허구적 상상력으로 재평가되고 있는 것이다.
    웬세슬라오에 대한 새로운 평가는 문학연구가들에 의해서가 아니라 보다 대중적인 장르인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에 의해서였다. 1982년 그의 소설 <정령의 숲 El Bosque Animado>을 원작으로 하는 동명의 제작 상영되고, 이 영화가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극찬을 받으면서 그의 소설은 재평가되기 시작된다. 1943년에 출판된 <정령의 숲>은 당대의 문학비평가들에 의해서도 웬세슬라오의 최고의 작품으로 인정된 소설이었다. 이 소설이 지닌 독특한 상상력은 당시 디즈니사에게도 상당한 매력을 주었던 것 같다. 이 작품이 나온 지 몇 년 후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제작 계획을 지니고 있던 디즈니사는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이 영화를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제작을 기획하기도 했다. 1985년 그의 고향인 갈리시아 지방의 라꼬류냐 대학 주체로 웬세슬라오 탄생 백주년을 기념하는 국제적 규모의 학술대회가 개최되었고, 이 행사는 이 작가에 대한 새로운 평가의 분위기를 반증하고 있는 것이다. 2001년에는 <정령의 숲>을 다시 원작으로 하는 장편 에니메이션이 스페인에서 제작되어 유럽을 비롯해 세계적으로 열광적인 반응을 일으키면서 웬세슬라오는 다시 한번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어초록

    Wenceslao, one of the most popular spanish novelists, was born in La Coruña of Province Galicia in 1885, His writing started from journalism which was transformed to writing the social-critic novel. We can find out the satire and the humor as the most novelistic elements in most of his novels like <El Proceso de los días>(1915). In the process of his fictional world, the humor has adquired more importance than satire. According to the author's theory about the humor, this rethoric element is free of social protest that the satire contains.
    Wenceslao's novelistic world consist of three periods: naturalistic realism, social-critical realism and fantastic realism. The author was negatively estimated as a popular novelist by most of contemporary critics. So in the most of the books about the spanish literature history, we cannot find out his name.
    From the decade 1980 the revaluation about his novels has been done not by the literary critics but by the filmmakers. The spanish movie director José Luis Cuerda made the film <El Bosque animado> in 1987 based the same titled Wenceslao novel. And in La Coruña University celebrated the international academic congreso about the spanish novelist in 1985.
    His fantastic novels were revaluated in our postmodern period, in which the artistic world is forming a new popular 'aura' corresponding to the new mass.
    In his novels we meet with the creative combination of two apparently absurd novelistic factors: the serious themes (nihilism, apocalytic vision, cult for devil) and irreal and fairy-tale-type narrative forms (medieval toned adventure, mistic animism, episodic narrative stru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외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