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슐라르의 ‘단절’ 개념에 대한 세 물음과 그 해명 (The three questions and explanations on the concept of ‘rupture’ of Bachelard)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0.05
35P 미리보기
바슐라르의 ‘단절’ 개념에 대한 세 물음과 그 해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탐구 / 27권 / 83 ~ 117페이지
    · 저자명 : 김윤재, 박치완

    초록

    바슐라르의 인식론을 검토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그의 ‘단절(la rupture)’이라는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의 단절 개념은 인식론 관련 저작의 처음부터 끝까지 등장하면서 다듬어지고 복잡화되는 개념이다. 그 만큼 단절 개념은 실제 그의 인식론적 체계 내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고, 또 그런 만큼 그의 인식론 전체를 조망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연구되어야 할 개념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단절 개념과 함께 바슐라르 인식론 전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인 바 우리는 이를 다음과 같이 셋으로(<어디에서>, <무엇과>, <무엇을 통해>) 세분화시켜 그 물음과 해명을 이제까지의 논의들과는 다른 새로운 해석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어디에서>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바슐라르가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주요하게 받아들여진 실증주의적인 관점의 과학의 역사 해석, 즉 ‘일반과학(une science du général)’이라는 이념에 입각하여 점진적인 확장과 발전으로서 과학의 역사를 받아들이는 입장에 어떻게 맞서는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바슐라르는 당시의 과학적 성과가 보인 혁신적 이행, 즉 기존의 이론이 새로운 이론과 시간적 선후관계나 인과적인 관계를 맺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이론들은 기존의 이론으로부터 단절되어 나타나며, 기존의 이론들은 이를 통해 새로운 이론들에 의해 재평가되고 새로운 이론적 틀에서 재배치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무엇과>의 단절이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바슐라르 인식론의 독특한 개념인 ‘인식론적 장애(l’obstacle épistémologique)’와 우리가 어떻게 거리를 두어야 하는지를 보게 될 것인데, 특히 여기서는 상식과 최초의 관찰과의 단절이 강조된다. 바슐라르에 따르면 새로운 과학적 이론을 받아들임에 있어, 대상에 대해 갖고 있는 최초의 관찰이나 기존의 과학적 지식이 일반화된 상태인 상식은 대개가 장애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때문에 우리가 새로운 과학 이론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최초의 관찰 결과나 기존의 상식과 반드시 단절해야만 한다는 것.
    마지막으로 <무엇을 통해>라는 물음을 통해서는 현대 과학이 어떻게 인간의 일상적인 인식과 구분되어 과학적 인식에 도달하는지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현대 과학은 새로운 실험 기술들을 통해 과학적 대상에 간접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그렇다고 해서 새로운 실험 기술들에 의해서만 현대 과학의 성과들이 산출되는 것은 아니다. 이 성과들은 이론적 사유, 즉 실험에 대한 창조적 기획과 실험 도구가 맞물려 이루어진다. 그렇기에 현대 과학의 대상들은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 창안하는 것임을 살펴보게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우리는 위 세 물음과 해명이 곧 바슐라르 인식론의 ‘역동성’을 구성한다는 것을 밝히면서, 이러한 역동성이야말로 바슐라르 인식론 전체에서 작동되는 ‘운동’ 그 자체라는 점을 강조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To study Bachelard’s epistemology, this article takes the concept of ‘la rupture’ as theme. As the rupture has been continuously grown up by adjusted and complicated through whole of his works of epistemology, the importance of the rupture in his epistemology proves that rupture is the most suitable tool to overview his entire epistemology itself. So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questions about the rupture and its explanations. The rupture <from where>, <from what>, <by what> are the questions. Through the question of <from where>, we can see what is the critique of Bachelard about the positivist’s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That understanding is based on the idea of the general science(une science du général), that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has been gradually expanded and developed. On the contrary, Bachelard emphasizes the history of natural science as renovative and continuous movement. In the modern physics, the former theory hasn’t any causal relation to a latter theory. Rather, the former has been revaluated by the latter, and relocated in the new theoretical system.
    On the question of <from what>, we will see that rupture from a epistemological obstacle, as a unique concept of Bachelard’s epistemology, especially we will treat rupture of the common sense and the prior or the first view. To accept an outcome of new theory of natural science, the common sense and the first view work as the epistemological obstacle. Bachelard insists on that if we want to accept a new theory of natural science, we must rupture from the first view and the common sense, because a new theory has no theoretical relation to the former theory.
    On the question of <by what>, we will see that how the contemporary science makes difference between connaissance commune and connaissance scienfitique. The contemporary science indirectly accesses to scientific object by new experimental instrument. But it is not that a outcome of contemporary science is produced only by new experimental instrument. That outcome has been produced by the ensemble of the theoretical thought, in other words, the creative plan about an experiment and the experimental instrument. by these reasons, we will see that the object of contemporary science is not given to us, but created by us.
    In conclusion, we claim that questions the rupture <from where>, <from what>, <by what>, and explanations of three aspects of rupture are summarized to the dynamic of Bachelard’s epistemology. We conclude the dynamic, that is the movement what operates in his epistem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