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19세기 정월 세시풍속에 보이는 동전 (CoinsinJanuary'sseasonalcustomsfrom 18th centutyto19thcentu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3.12
38P 미리보기
18~19세기 정월 세시풍속에 보이는 동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32호 / 189 ~ 226페이지
    · 저자명 : 조한정

    초록

    8~19세기를 살았던 우리 조상들의 소원은 돈 귀신과 사귀고 싶다거나 배불리 먹고 돈 많이 버는 것이었다. 우리들이 흔히 하는 푸념과 같다. 이렇듯 연말연시 소원이었던 동전은 조금만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도 그 위상이 상당히 초라해진다. 동전 유통정책은 고려부터 칠백 년 동안 번번이 실패하여 동전은 쌀과 베에 밀려 화폐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동전은 창고에 쌓이거나 다른 용도로 쓰이기 위해 녹여지는 일도 흔했다.
    쌀과 베에서 동전으로의 변화는 정치와 경제 뿐 아니라 사회가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의미했다. 동전을 유통시키기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와 농업, 상공업, 광업 등의 발달로 화폐유통이 추진력을 얻으면서 동전은 우리 조상들이 갈망의 대상이었고 신분 상승의 도구였다.
    오랜 세월동안 별 쓸모가 없었던 동전이 조선후기부터 커다란 힘을 발휘하게 되면서 세시풍속에 반영되기에 이르렀다. 사회변화가 세시풍속으로 정착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만 일단 정착되면 쉽게 변하지 않는 속성을 지녔다. 일 년 중 정월의 세시풍속이 가장 중요했다. 이러한 정월 세시풍속에 동전이 출현한 것만으로도 조선후기 사회에 동전이 끼친 영향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 짐작하게 한다.
    동전이 정월 행사에 등장한 것이 설날의 떡국 먹기, 덕담, 법고였고 정월대보름의 적선, 제웅치기, 호로버리기, 돈치기였다. 돈 걱정 없이 살고 싶은 소망이 덕담과 법고로 나타났다. 또한 동전은 풍년을 기원하는 마을행사 위주인 정월대보름에도 가족을 위한 주술적 용도로 사용되었다. 제웅치기를 통해 주술적인 부분으로 확대된 동전의 힘을 확인했다. 제웅치기는 가족의 액막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행하여졌는데, 이전에 제웅 속에 넣던 쌀, 음식이 동전으로 대체되었다. 가난한 집은 사기로 동전 모양을 깎아서 제웅 속에 넣었을 정도였다. 어린이를 위한 액막이로 호로버리기를 했고 어른과 아이가 섞여 돈치기도 했다.
    세시풍속에서 보이는 동전은 정월 한 달 기간 동안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전은 기복, 액막이를 주목적으로 가정 내의 행사에 머물렀을 뿐 그 이상의 범위로 확대되지 않았다. 18∼19세기 동안 동전이 나타나는 세시풍속은 그 수가 조금씩 증가하다가 20세기 이후에는 점차 축소되어 갔다.

    영어초록

    Thewishofourancestorsfrom the18thcenturyto19thcenturywas makingenoughmoneytoeat.It'sthesameproblem wefacenow.But afew hundredyearsago,coinswerenotvaluable.Coin-basedcurrency policyhadfailedfor700yearsinKoreaDynasty.That'swhycoinswere notvaluableascurrency.Riceandclothweremorevaluablemoney, ratherthancoins.Coinswerestoredinawarehouseortheyweremelted downforthemetaltoberecycled.
    However,therewasachange,notonlyinpolitics,butalsointhe economyandsociety.Manypeoplewereanxioustohavecoinsasaway togouptoahighersocialposition,duetothedynasty'seffortsto distribute coinsand to develope agriculture,mining,commerce and industry.Asthecoins,which hadn'tbeen valuableforalongtime, becameimportant,alsochanged.
    Seasonalcustomsneedalongtimetoform andalsoneedalongtime tochange.January'scustomswerethemostimportantintheyear.We knowthatcoinswereveryimportantinthelateJoseonDynastyduring thisseasonalcustoms.
    Itiseasy tofind coinsin Korean New year'sday customslike Rice-cakesoup[Tteokguk],wordsofblessing[Deokdam]anddrumming [Beopgo].We also find coins in fullmoon of january[Jeongwol Deaboreum]customslikegivingalms[Jeokseon],throwingastraweffigy [Jeungchigi],throwingawayagourd[Horobeorigi],playingpitchcoins [Donchigi].PeopleexpressedtheirwishestoberichwithDeokdam and Beopgo.AlsocoinswereusedforexorcismsforfamilieslikeJeungchigi, whichwasacommonshamanisticceremony.Peopleplacedcoinsinstead ofriceorfoodintheJeung.Somepoorpeoplewouldmakefakecoins with chinaware.Horobeorigiwasa specific ceremony forchildren's spirits.
    Thereweremanycustomswithcoins,especiallyinJanuary.Coins wereusedspeciallyinceremoniesforfamily.Duringthe18thand19th centuries,Seasonalcustoms became prominent but after the 20th century,theyhavefa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