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난 세 가지 향수(鄕愁) (Three Types of Nostalgia Expressed in ‘Nostalgia’ of Saryang Kim)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6.06
35P 미리보기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난 세 가지 향수(鄕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59호 / 95 ~ 129페이지
    · 저자명 : 이경재

    초록

    이 논문은 김사량의 「향수」에 나타난 노스탤지어의 정치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작품에서 향수는 특정한 장면에만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주제의식과 밀접하게 관련된 이 작품의 중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때의 향수는 ‘지금-이곳’에 대한 당혹감에서 비롯된 정념이라는 것과 부재하는 빈자리를 채우는 이상화되고 낭만화 된 환상이라는 것을 기본 성격으로 한다. 옥상렬과 가야는 일종의 전도된 거울상들이라고 할 수 있다. 옥상렬이 ‘사상’을 버리고 ‘인간’을 취하려고 했지만 결국 두 가지 모두를 잃어버렸다면, 가야는 ‘인간’을 버리고 ‘사상’을 취하려고 했지만 결국에는 두 가지와 모두 거리가 멀어지고 만다. 그러나 그들이 의식적으로는 ‘인간’과 ‘사상’이라는 두 가지 가치 중에서 자신이 우선시하는 하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서 최선을 다한 인간들이라는 점도 놓쳐서는 안 된다. 여기서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은 가야와 옥상렬 모두 노스탤지어를 느낀다는 점이며, 또한 향수야말로 북경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최소한의 양심을 유지하게 해주는 힘이 된다는 것이다. 본래 향수는 이상적인 과거에 존재했다고 상상되는 조화에 대한 그리움을 통하여 현재에 대한 비판과 부정의 의미를 함축하며, 동시에 미래에 대한 소망까지 보여주기 때문이다. 「향수」에 나타난 향수를 온전히 해명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주인공이자 유일한 인물 초점자인 이현이 느끼는 향수도 해명되어야 한다. 처음 북경으로 향하던 이현에게는 ‘조선의 과거 예술 유산’과 ‘누나’가 노스탤지어의 대상이었다. 이 중에서도 보다 큰 중요성을 가지는 것은 ‘누나’에 대한 노스탤지어였으며, 이를 통해 이현은 새로운 삶의 방향성을 찾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북경에서 만난 가야 누나와 옥상렬은 ‘사상’과 ‘인간’이라는 가치를 부여잡고 시대의 진창을 건너려 했던 것과는 달리, 당대의 시공 속에서는 ‘사상’도 ‘인간’도 더 이상 추구할 수 없음을 증명하는 존재로 전락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현은 도자기로 상징되는 ‘문화’라는 가치를 통해 민족적 정체성을 새롭게 구축하는 것은 물론이고 누나에게 받은 충격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이현은 정체성의 위기에서 벗어나 “훌륭한 동아의 한사람, 세계의 한 사람”(192)으로 자신을 정립한다. ‘인간’이나 ‘사상’이 아닌 ‘문화’라는 가치를 통해 일제말의 엄혹한 시대를 헤쳐 나가려 한 이현의 모습은,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해 볼 때 작가 김사량에게로 확장시켜 볼 수 있다. 「향수」에 나타난 향수의 정치적 의미는 비슷한 시기의 북경을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작품의 주요 인물들 역시 향수와 관련된 반응을 보여주고 있는 정비석의 「이 분위기」와 비교해보았을 때 그 성격이 보다 분명해진다. 「이 분위기」에서 주인공이라고 할 수 있는 김지준은 향수를 철저히 거부하며, 이것은 김지준이 별다른 고민 없이 중일전쟁과 북경에 닥쳐온 신체제를 맹목적으로 지지하는 모습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지준의 모습은 중일전쟁 직후의 상황에서 나름의 가치를 지켜나가고자 몸부림치는 「향수」의 여러 인물들이 모두 향수에 빠져 있는 것과는 크게 대비되는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nostalgia expressed in ‘Nostalgia’ of Saryang Kim. Nostalgia in this work does not just appear in certain scenes but is the center of the work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basic theme. Nostalgia here has the basic nature as the sentiment that originated from the embarrassment about ‘now-here’ and as the idealized and romanticized fantasy that fills vacancy. Sangryul Ok and Gaya can be called inverse reflections in mirror. Sangryul Ok tried to take ‘human’ giving up ‘ideology’ but lost both, while Gaya tried to take ‘ideology’ abandoning ‘human’ but lost both of them. However, we should notice that they tried their best to keep one of the values that they cherish between ‘human’ and ‘ideology’. What is noteworthy is that both Sangryul Ok and Gaya can feel nostalgia, which is the power to keep the least amount of conscientiousness for people living in Beijing. It is because nostalgia originally contains criticism and negativity about the present through the longing for harmony that is imagined to have existed in the idealistic past, and also shows desire for the future. In order to fully clarify the nostalgia expressed in ‘Nostalgia’, the nostalgia of Hyun Lee, the main character and fixed focus of the work, should be expressed. For Hyun Lee, ‘the past art heritage of Joseon’ and the ‘older sister’ was the objects of nostalgia. Between the two, the more important was the nostalgia about his sister, through which he wanted to find the direction of new life. However, unlike sister Gaya and Sangryul Ok he met in Beijing, who held on to the value of ‘ideology’ and ‘human’ and tried to overcome the mess of the era, he denigrated to a being that proved ‘ideology’ and ‘human’ cannot be pursued in the time period. Under these circumstances, Hyun Lee newly establishes ethnic identity through the value, ‘culture’, which is symbolized by pottery and can absorb the shock he received from his sister. Through this, Hyun Lee gets out of identity crisis and is reborn as a “great person in East Asia and in the world”(192). Hyun Lee’s effort to survive the strict and dark time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the value of ‘culture’, not ‘ideology’ or ‘culture’, can be applied to author, Saryang Kim, when considering various circumstances. The political meaning of nostalgia expressed in ‘Nostalgia’ has Beijing in the similar period as its background, and the main characters of the work, when compared to ‘This Atmosphere’ of Biseok Jeong, which shows a response related to nostalgia, show clearer meanings. The main character, Jijoon Kim in ‘This Atmosphere’ thoroughly refuses nostalgia and this leads to his blind and thoughtless support for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new system established in Beijing. This attitude of Jijoon Kim is in stark contrast to the characters in ‘Nostalgia’ who feel nostalgia in their struggle to maintain their val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