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Three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1.06
33P 미리보기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학과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과사상 / 67호 / 164 ~ 196페이지
    · 저자명 : 정승석

    초록

    자이나의 물활론에서 말하는 ‘속박된 영혼’은 흔히 말하는 영혼의 개념을 가장 포괄적으로 대변한다. 그리고 상키야 철학에서 말하는 통각은 ‘속박된 영혼’에 포섭된다. 또한 이 통각은 우파니샤드의 5장설로 말하면, 넷째인 ‘식별로 이루어지는 아트만’과 동격이다. 한편 ‘해탈한 영혼’이라는 관념은 우파니샤드와 자이나와 상키야의 영혼관에서 궁극의 이상으로 표방한 공통분모에 해당한다. 이 점에서 우파니샤드의 범아일여는 인도 철학의 영혼관이 표방하는 공통의 이념을 대변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범아일여의 영혼관은 브라만과 아트만의 동일화로 인한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범아일여의 일원론에 의하면, ‘최상의 정신적 실체’(브라만)는 마음에 내재하여 ‘의식의 최고 원리’(영혼)가 된다. 그래서 이 둘은 동일하고 ‘자신의 진실한 존재’이다. 그러나 상키야 철학에서는 이러한 동일화가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 마음에 내재하여 의식의 형태로 있는 영혼이라면, 이런 영혼은 마음 또는 의식의 속성과 절연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상키야의 이원론에서는, 의식의 형태로 있는 것이라면 이것도 모두 무지라는 불순한 속성을 지닌 것으로 간주된다. 더욱이 영혼이 의식의 형태로 내재한다는 것은 인식 기관으로서 또는 인식 기관 속에 존재한다는 것과 같다. 인식 기관은 순수한 속성만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기존의 영혼 개념은 이 같은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다. 자이나의 영혼관은 해탈한 영혼과 속박된 영혼을 특별히 양분하므로, 업 물질이 제거되어 해탈한 영혼은 인식 기관을 초월한 영혼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업 물질의 유입이 차단되지 않고 감각의 숫자로 등급이 차별되는 속박된 영혼은 애초부터 불순한 속성을 지닌 것으로 전제되어 있다.

    영어초록

    The fettered soul explained in the hylozoism of Jaina philosophy is broadly and commonly used to represent the concept of the soul. And the concept of the buddhi(intellect), one of main principles of Sāṃkhya philosophy, can be included into the concept of the fettered soul. In addition, this buddhi can also be identified with the ātman(self or soul) ‘consisting of understanding’ (vijñāna-maya) that is the fourth among the five states of ātman explained in Upaniṣad.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the released soul, which functions as a reciprocal doctrine among the philosophies of Upaniṣad, Jainism, and Sāṃkhya, is the ultimate ideal. At this point, the oneness of Brahman and ātman could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common ideology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concept of soul such as the oneness of Brahman and ātman because Brahman is undeniably identified with the concept of ātman.
    According to the monism revealed as the oneness of Brahman and ātman, Brahman, or the ultimate spiritual substance is inherent in the human mind and becomes the ‘supreme principle of consciousness’(soul). These two, thus, are the same and constitute the ‘tru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self’. According to the philosophy of Sāṃkhya, however, this unified identification is inconsequential or irrational since the soul inherent in the mind is an aspect of consciousness. Therefore, such a soul can never separated from the mind or the properties of consciousness.
    Specifically, according to dualism of Sāṃkhya philosophy, whatever things existing as an aspect of consciousness are regarded as a kind of ignorance with impure properties. Moreover, the soul inherent in us as an aspect of consciousness means that it exists as a kind of cognitive organ, or exists within the cognitive organs. In this case, cognitive organs cannot be composed of only pure prosperities. Therefore, the existing concept of the soul, just as the concept of the oneness between Brahman and ātman, cannot be free from this kind of limitations.
    The concept of the soul in Jainism is made up of a dichotomy between the released soul and the fettered soul, where the released soul has been totally removed from karmic matter and has transcended cognitive organs. In contrast, the fettered soul, which is unable to block the flow of karmic matter and classified by numbers of sense, is on the premise that it has impure properties from the fir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과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