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蓮葉化生의 普遍性과 象徵性 (Universality and Symbol of “Self-born on the Lotus Leaf”)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1.08
35P 미리보기
蓮葉化生의 普遍性과 象徵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25호 / 389 ~ 423페이지
    · 저자명 : 편무영

    초록

    滿開한 연꽃에서 神이나 貴人, 또는 亡者가 상반신을 드러내며 출현하는 연화화생 모티브의 그림이나 부조, 벽화 등은 아시아의 전 지역에서 발견되는 글로벌 문화이다. 그러나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본다면 연화화생과 연엽화생은 구별해야 마땅한 용어였다.
    따라서 한국이나 일본의 연화화생 문화가 중국에서 전래되었다는 통속적인 언설이 아니라,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이 본래 인도에서는 어떠한 신화적 사상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을까 하는 중국불교 이전의 문제로 접근하려고 하였다.
    먼저 일본의 불교장식이나 회화에서는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에 대한 단계적 표현이 두드러졌는데, 가령 前者를 인간의 화생, 後者를 신의 화생으로 나누려는 의도가 읽혀졌다.
    한국의 사찰 벽화에서도 연엽화생은 연화화생의 前段階라는 화가의 의도가 엿보인다. 즉, 전자에서 극락에 도달한 망자가 후자에선 왕생을 완성해가는 것이다.
    그 밖에도 한국과 중국의 민속에서는 연엽화생이 祈子信仰과 부부의 금실을 대표하는 도안으로 토착화하였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한편 연엽화생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본다면 연엽이나 연꽃은 신화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생명력의 원초적 형상화가 연잎이었으며 조물주가 최초로 스스로의 모습을 드러낸 곳도 연못(lotus pond)이었다. 神만이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개별자 역시 연잎에서 비롯하였으니 연잎은 바야흐로 연꽃보다 한 발 앞선 생명력의 근원이었다.
    연엽화생의 보편성과 상징성을 이상과 같이 일본에서 인도에 이르는 문화 전파의 루트를 따라 살펴보았다. 이 세상이 구체적으로 만들어지던 단계에서는 연화화생이 화려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부정할 수 없으나, 그 전 단계, 즉 최초의 생명력이 응집하던 단계야말로 연엽화생의 역할이었다. 즉,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은 신화적 전개의 전후관계나 상하관계를 표상하는 단계적 장치였다. 연엽화생은 구체적 신들이 본격적으로 태어나기 전 단계, 다시 말해서 태초의 생명력 형성의 이야기였으며 우주에서의 개별자 형성, 즉 범아일여(梵我一如) 사상을 보여주기 위한 시각적 장치였다.
    연엽화생에 담긴 고대 인도의 신화적 사상이 중국을 경유하면서 형이상학에서 형이하학, 즉 속화(俗化)의 길을 걷기도 하지만 원의를 지금까지 남기기도 하였다. 그리고 사상이 누락된 상태의 민속은 문화변이를 일으키면서 한국과 일본에까지 전래되기도 하였다.
    요컨대 하나로 존재하는 우주적 전체와 그곳을 출처로 무수한 개별자들이 탄생한다는 신화 이야기, 즉 고대 인도인들의 범아일여 사상은 연엽화생과 연화화생이라는 두 개념이 상호 불가분으로 존재하면서 성립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image of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is that gods, nobles, or dead appear half-naked on the lotus flower in full bloom. It is motif of paintings, reliefs, and mural paintings of Asian cultures, what is more, global culture. However, it has to be distinguished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from “self-born on the lotus leaf” in Indian perspective.
    This paper is not trying to tell that, therefore,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is come from China. Rather, it is about how“self-born on the lotus leaf”and“self-born on the lotus flower”are connected to Indian mythological background, that is, it is about pre-Chinese Buddhism.
    Japanese Buddhist decorations and paintings, fist of all, depict “self-born on the lotus leaf” and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gradually; the former is self-born of human beings and the latter is self-born of gods.
    The mural paintings of Korean temples also show that “self-born on the lotus leaf” is previous step of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That is to say, the dead goes to heaven at the former, and shuffle off the mortal coil at the latter.
    Furthermore, “self-born on the lotus leaf” is indigenized as belief of praying for a baby boy and conjugal affection among the folk cultures of Korea and China.
    India is the cradle of “self-born on the lotus leaf”, meanwhile, and in Indian perspective the lotus leaf or flower is inseparably-linked to myth. The primary embodiment of life was the lotus leaf, and the Creator was appeared for the first time at the lotus pond. Not only gods but also all entities were originated in the lotus leaf. So the lotus leaf is the origin of life compare to the lotus flower.
    Universality and Symbol of “Self-born on the Lotus Leaf” is analyzed seeing culture diffusion through Japan to India. When the world was being created concretely,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carried out splendid tasks. “Self-born on the lotus leaf”, however, played a significant role when the foremost life cohere, the previous step. That is to say, “self-born on the lotus leaf” and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are gradual devices that represent anteroposterior and hierarchical relation of mythological development. “Self-born on the lotus leaf” is about pre-gods era, in other words, the formation of foremost life. Moreover, it was visual device that shows “Brahma-Atman-Aikya(梵我一如)”, the formation of entities in the universe.
    The mythological thought of ancient India, included in “self-born on the lotus leaf”, was transformed metaphysical meaning into physical(secularized) one through Chine. The intrinsic meaning, however, has been remained up to now. Folklore was acculturated in mythological thought’s absence, and diffused to Korea and Japan.
    In sum, “Brahma-Atman-Aikya” of ancient India, that is, there is one universe as a whole and a lot of entities are originated from there, was possible with inseparable relation between“self-born on the lotus leaf” and “self-born on the lotus flow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