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플라톤의 구술성과 문자성 (Platons Oralitt und Schriftlichkei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7.03
24P 미리보기
플라톤의 구술성과 문자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38호 / 97 ~ 120페이지
    · 저자명 : 주광순

    초록

    플라톤은 ꡔ파이드로스ꡕ와 ꡔ제7서한ꡕ에서 매체로서의 문자를 불충분하다고 비판했다. 그가 많은 저작을 남겼기 때문에, 이것은 놀라운 일이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이 비판을 그의 저작 전체를 이해하는 열쇄로 삼기도 했다. 이를테면 소위 튀빙겐학파가 그렇다. 튀빙겐학파는 플라톤이 책이란 자신의 최후의 중심사상을 표현하는데, 적당하지 못하다고 생각했다고 믿는다. 그래서 그들에 따르자면 플라톤이 대화편 속에서는 자신의 핵심사상인 ‘선의 이데아’에 관해서 감추고 다만 아카데미에서 구두로 강의할 때에만 전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은 플라톤의 이러한 핵심사상을 명료성, 분석성, 객관성으로 특징짓는다. 그러나 이 점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문자성의 특징이고 구술성은 삶과의 친숙과 실천성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책으로 쓰지 못한 핵심사상이 있다고 할지라도 그러한 특징을 가질 수는 없겠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점은 원래 플라톤의 혼란이다. 그는 원시 구술문화로부터 문자문화로의 이행기에 있었기 때문에 신매체인 문자의 공과 실을 제대로 파악할 입장에 있지 않았다. 그래서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문자비판을 하는 도중에 우리가 보기에는 문자의 장점을 구술의 장점으로 들여온다. 그런데 우리에게도 문자매체가 이제 멀티미디어 매체로 전환해가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매체 간의 이동에 대해서 분명한 상을 확보할 필요가 있겠다.

    ※ 주요어: 플라톤, 구술성, 문자성, 매체, 튀빙겐학파.

    영어초록

    In seinem Phaidros und Siebten Brief hält Platon die Schrift als Medium für ungenügend. Das ist erstaunlich, weil er viel geschrieben hat. Viele Gelehrte nehmen diese Kritik als den Schlüssel zur Interpretation von Platon an. Z.B. die so genannte Tübinger Schule ist der Fall. Sie meint, dass nach Platon die Schrift unzureichend ist, um den letzten Kernpunkt seiner Lehre mitzuteilen. Daher ‘verberge’ Platon nach ihrer Auffassung in seinen Büchern das Wesentliche über ‘die Idea des Guten’ und erläutere es nur mündlich in seiner Akademie. Und Szlezák charakterisiert Platons Kernlehre als deutlich, analytisch und objektiv. Das ist aber nicht überzeugend, weil diese Merkmale nicht von der Mündlichkeit sind; die Mündlichkeit ist vielmehr als die Annäherung an das Leben oder die Praxis-fähigkeit zu kennzeichnen. Aber diese Verwirrung ist eigentlich auf Platon zurckzuführen. Er war in der Übergangsphase von der archaischen Oralität zur Schriftlichkeit und daher nicht in der Lage, Vorzüge und Mängel des neuen Mediums ganz richt zu beurteilen. Deswegen führte er unbewusst whärend seiner Kritik gegen die Schriftlichkeit sogar den Vorteil der Schriftlichkeit als den der Mündlichkeit ein. Aber jetzt tritt das neue Medium, Multimedia, langsam an die Stelle des veraltenden Mediums ‘Schrift’. Deshalb ist es nötig, dass uns dieser Übergang durchsichtig wird.

    ※ Schlagwörter: Platon, Oralität, Schriftlichkeit, Medium, Tübinger Schu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