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성씨본관 항목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Article Development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Focusing on Seonggwan(姓貫) Informati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0.03
26P 미리보기
&lt;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gt; 성씨본관 항목 개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57호 / 313 ~ 338페이지
    · 저자명 : 양창진

    초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대한민국이 해방 이후 40여 년에 걸쳐 이룩한 한국학 연구 성과의 결정체이다. 수록된 양이 방대한 만큼 한국문화를 상징하거나 이해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인정되는 약 7만여 개의 표제어를 수록하고 있다. 사실상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문화 요소들을 거의 수록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백과사전에는 아직도 수록되지 않은 내용이 많다. 그래서 현재도 수정 증보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이다이 중 하나가 ‘성씨본관’이다. 성씨본관은 인물 항목과도 관련된다. 이 사전에 수록된 전체 7만여 항목 중에서 약 18,000여 항목이 인물 항목이다. 그런데 인물 항목과 마찬가지로 한국인에게 성씨본관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가장 중요한 매개체이면서 한국문화의 독특함을 알려주는 요소이기도 하다. 그래서 오늘날 한국인은 대부분 성씨본관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성씨본관 항목은 한국문화의 핵심 요소이지만 동시에 수많은 논쟁 요소를 지니기 때문에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지 않았다. 소모적인 논쟁으로 비화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는 이유 때문이다.
    그러나 논쟁을 야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씨본관 항목은 이 백과사전에 수록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 백과사전에 제외된 성씨본관 항목 집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성씨본관 정보의 기술을 위해서는 논쟁을 야기하는 요소인 성씨본관의 명칭, 성씨의 시조, 성씨 관련 인물의 선정, 참고문헌의 선정 등으로 나누어 명확한 집필 기준을 정한 후, 이에 따라 집필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이해관계자들과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성씨본관 항목은 논쟁을 동반하는 주제이다. 그러나 이 백과사전이 한국 대표 백과사전을 자임하기 위해서는 논쟁을 꺼리지 말아야 하며 오히려 논쟁의 중심에 서야 한다. 성씨본관 항목은 이 사전의 권위를 다시 확인하는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韓國民族文化大百科事典)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 of Korean studi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achieved over 40 years after liberation. This encyclopedia contains approximately 70,000 headings that are recognized as important in symbolizing or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In fact, it contains almost every cultural element of Korea from ancient times to modern times. However, there is still much to be added to this encyclopedia. This is why we still carry out revised and supplementary projects.
    In my opinion, important contents that symbolize Korean culture are missing from this encyclopedia. One of these is the Seongssi Bongwan (seonggwan, 姓貫). Every Korean has a seonggwan which is a integrated concept of surname and family origin. This is a core element of Kore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has a number of controversial elements. Because It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people living in modern Korea. Identity disputes are not easy to conclude. So, to avoid this controversy, the seonggwan information was not included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should be listed in this Encyclopedi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record seonggwan information in this encyclopedia.
    A seonggwan is related to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About 18,000 of the total 70,000 entry list in this Encyclopedia ar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Like the historical figures information, the seonggwan is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Koreans to identify their identity, and it is a characteristic that shows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To write seonggwan information, it should set clear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seonggwan names, descriptions of ancestors, the selection of people related to seonggwan, and the selection of reference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controversial factors. In this way, conflicts with stakeholder can be minimized.
    The seonggwan is always a controversial subject in modern Korea. However, in order for this encyclopedia to become the representative encyclopedia of Korea, it is desirable not to be reluctant to debate, but at the center of the deb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5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전